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2) - 건강(健康), 조작(操作)
건강(健康) health, 健(굳셀 건), 康(편안할 강)
일어: [健康: けんこう 겐꼬], 중어: 健康 [jiànkāng 찌엔캉]
굳세고 편안함, 몸이 편안하고 튼튼함. 수학, 1-2 04-041
健*튼튼할 건(人-11, 6급)
1) 健자는 ‘사람 인’(人)이 의미, 建(세울 건)은 발음. ‘단짝’(an intimate friend)이 본뜻인데, ‘튼튼하다’(healthy) ‘굳세다’(vigorous)는 뜻으로도 활용.
2) 사람 인(亻) + [세울 건(建)] 사람(亻) 꼿꼿이 서(建)있으니 ‘건강한’ 것이다. 겉으로 꼿꼿한 것은 健이고, 안으로 몸이 편한 것은 康(강)이다. 剛健(강건) 健康(건강) 保健(보건)
3) 람 인(亻) + 세울 건(建) 몸을 세우고(建) 걷는 사람(亻)은 건강하다>건강하다
4) 建# erect + 人 person → healthy person, standing fully erect → *health*; *vigor*.
康*편안 강(广-11, 4급)
1) 쌀 미(米) + [별/일곱째 천간 경(庚)→강] 설문(說文)에 庚과 米의 합자라 했다. 결실(庚)된 곡식(米)을 먹고 몸이 ‘편안한-comfort’ 것이다. 音은 庚의 변음이다. 또한 强(강)으로 통한다. 健康(건강)
2) 쌀 미(米)+천간/겉곡식 경(庚) 쌀(米)의 겉곡식(庚)을 찧어서 먹을 정도로 풍년이 들어 편안한 시절>편안하다
3) 강(康)은 요령[庚]과 아래의 점으로 거기에서 나는 소리를 가리키는 지사자라고도 함. ‘작은 종을 연주하는 것’이 본뜻, 거기에서 ‘안락하다, 편안하다’라는 뜻이 인신, '미칠(reach)’ 이(隶)로 부수자
4) 庚 # (firm husk) + four marks suggesting scattered rice → firm, taut husk of a grain plant → *healthy*; *sound* (← firm and taut). 康 was devised to replace 庚 after 庚 acquired its borrowed meanings.
조작(操作) manipulation, 操(조종할 조), 作(지을 작)
일어: [操作: そうさ 쏘사], 操作 [cāozuò 차오즈어]
조종하여 지음, 기계 등을 움직여 바꿈. 수학, 1-2 05-047
操*잡을 조(扌-16, 5급)
1) 操자는 잡는다(hold) 조정하다(manipulate) 의미의 글자. 扌(손 수)가 의미, 喿(울 조)가 발음.
2) 손 수(扌) + [새 때로 울 조(喿)] 여럿이 시끄럽게 떠드는(喿)) 가운데, 무엇 하나를 손(扌)으로 ‘잡고’ 있는 것이다. 操縱(조종) 操作(조작) 操舵(조타)
3) 扌=手)+떠들썩하다/울다 조/소(喿) 떠들썩한(喿) 사람들을 손(扌=手)으로 잡아 다루다→다루다
4) 喿 is 木 tree/wood + 口 mouth (tripled) → chicks chirping in a nest in a tree (compare 巣 and 集). 1) 操 is as per 喿 # (activity taking place above) + 手 hand/action indicator → *manipulate* or *operate* (from above) → *manage*; *pull strings* → *chastity*; *fidelity* (← manners that enable the smooth manipulation of human relations). Also, *puppet* and *marionette* (← figures manipulated by pulling strings).
5) Symbolizes an act of trying to catch birds by hand(扌) because they are too loud (喿). Also signifies that one needs to practice or exercise in order to catch a bird by hands.
作*지을 작(人-7, 7급)
1) 作자가 본래는 ‘乍’(사/작)로 쓰이다가 후에 ‘손 우’(又)가 덧붙여진 것과 ‘사람 인’(亻)이 첨가된 것, 두 가지 형태로 쓰이다가, 앞의 것은 도태되었다. ‘만들다’(make) ‘일으키다’(set up) 등의 의미로 쓰인다.
2) 亻+乍, 乍는 잠깐이란 뜻에서 비로소란 뜻이 되었으니, 사람(亻)이 비로소 무엇을 ‘만드는’ 것이다. 乍의 변음이다. 끊어서 만듦은 製(제)고, 글로서 만듦은 著(저)다. 工作(공작) 著作(저작) 作業(작업)
3) 사람 인(亻=人)+잠깐/짓다 사(乍) 사람(亻=人)이 물건에 어떤 작위를(乍) 가하다→짓다
4) The character “乍,” which signifies a person harvesting with tools, is used to mean “sudden”; by adding the subject person(亻) it reinforces the meaning of to do.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3)-Hanja in mathematics(33) (1) | 2022.09.20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8)-Hanja in elementary school(38) (1) | 2022.09.1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7)-Hanja in elementary school(37) (0) | 2022.09.12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1)-Hanja in mathematics(31) (1) | 2022.09.0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6)-Hanja in elementary school(36)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