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7) - 대응(對應), 주변(周邊)
대응(對應) correspondence, 對(대할 대), 應(응할 응)
일어: [対応: たいおう 타이오], 중어:对应 [duìyìng 뚜이잉]
대하여 응함, 마주 대하여 상대함. 수학, 1-2 02-023
對*대할 대(寸-14, 6급)
1) 對자의 寸(촌)은 ‘잡다’는 의미, 丵(풀 무성할 착)은 信標(신:표)로 쓰이던 符節(부절)을 본뜬 것. 사신이 부절을 들고서 누구를 마주 보고 있는 모습. ‘대하다’(meet) ‘상대방’(the other side) 등을 뜻함.
2) 丵+口+寸, 口는 士로 바뀌었다(漢 文帝때).
3) 丵 +土+寸, 땅(土)위에 떨기(丵)로 난 초목을 사람은 법도(寸)에 따라 ‘상대하는’ 것이다. 주체가 객체를 향한 것은 對(대)고, 나무(木)를 보는(目) 것은 상(相)이다. 音은 기다리니(待) ‘대’다. 對答(대답) 相對(상대) ☞待(기다릴 대)→寺(사)
4) 丵 is a depiction of a thick clump of tall grass. 對 is a variant of 丵 + 寸 hand/action indicator → lay clumps of grass out to dry, facing each other → *confront*; *face* → *opposite*; *a pair of*.
應*응할 응(心/忄-17, 4급)
1) 마음 심(心=忄, 㣺)+집 엄(广)+사람 인(亻)+ 새 추(隹) 집(广)에서 사람(亻)이 기르는 새(隹)인 매는 먹이는 사람의 마음(心)에 맞추어 사냥해온다>응하다(respond). 應酬(응수) 應當(응당)
2) 응(應)은 이치가 그러한 것, 즉 마땅한 것. 달리 반응하는 것도 나타냄. 팔 위에 가마우지 [䧹, ‘매’ 응]를 올려놓고 마음에 들어 하는 것이라는 고문 분석도 있음. 가마우지가 물고기를 잡아올 것이라고 마음에 들어 하는 것. 급한 정황에 대처하는 것은 응급(應急)이고, 상대의 요청에 응하여 승낙하는 것은 응낙(應諾), 곁에서 성원하거나 호응해주는 것은 응원(應援).
3) The top element# of 鷹 (trained bird of prey) + 心 heart/emotions → *accede-응하다, 오르다 * (as a trained bird accedes to commands) → *agree (to)* → *respond*; *reply*; *react*; *be fitting*; *be suited*. Also, *reward* and *return*.
주변(周邊) surroundings, 周(둘레 주), 邊(곁 변)
일어: [周辺: しゅうへん 슈 헨], 중어:周边 [zhōubiān 조우 비엔]
둘레의 곁, 주위의 가장자리나 그 부근. 수학, 1-2 02-023
周*두루 주(口-8, 5급)
1) 周자는 옥의 조밀한 무늬를 다듬는 모습이 변화된 것으로 ‘(옥을) 다듬다’(face jade)라는 뜻. 후에 ‘두루’(all over) ‘골고루’(evenly) ‘널리’(widely) 등으로도 쓰이자, 본뜻은 琱(옥 다듬을 조) 자를 따라 만들어 나타냈다고 함.
2) 밭 전(田) + [입 구(口)->주] 두루 주(周)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밭 전(田) 자 안에 점이 4개 찍혀 있음. 밭의 농작물이 두루, 골고루 잘되었다는 의미. 나중에 점은 생략되고, 글자 아래에 소리를 나타내는 입 구(口) 자가 추가되어 현재의 모습이 됨. 은(殷) 나라를 멸망시킨 주(周) 나라는, 황토고원에 있는 섬서 지역의 비옥한 땅에서 농사를 지었고, 이런 배경에서 주(周)라는 글자가 만들어졌습니다.→ 주유천하(周:돌 주 遊:놀 유 天:하늘 천 下:아래 하) : 천하를 두루 다니며 구경함.
3) 用+口, 입(口)을 써서(用) 말로 하면 무엇이나 ‘두루’ 다 알 수 있다. 원훈은 ‘빽빽하다(密也)’이다. 두루 다함은 周(주)고, 두루 다님은 遍(편)이다. 周邊(주변)
4) grain crops in a field, growing thickly. A bronzeware inscription form adds 囗 circular enclosure → enclosure encircling a field of grain →*circulate*; → *surroundings* (← surroundings of an enclosure); *circumference*. In derivative characters, 周 may also appear in the form seen for example in 稠, 綢 or 雕.
邊*가 변(辶-19, 5급)
1) 邊자는 낯선 길을 가다 벼랑에 ‘닿다’(reach)는 뜻이, ‘길갈 착’(辶)이 의미요소로 쓰임. 臱(보이지 않을 면)은 발음 요소라고 한다. 후에 ‘옆’(side) ‘변두리’(suburb) ‘가장자리’(the border) 등으로 확대 사용.
2) 갈 착(辶) + [보이지 않을 면(臱)→변] 보이지 않게(臱) 변방이나 가장자리로 간다는 의미. 변방(邊方)은 변두리의 땅.보이지 않을 면(臱) 자는 스스로 자(自), 구멍 혈(穴), 모/방위 방(方) 자가 합쳐진 글자. 양변(兩邊), 해변(海邊), 신변(身邊), 변산(邊山), 변방(邊方), 변경(邊境)
3) 自+穴+方+辶, 구멍(穴) 깊은 쪽(方)으로 부터(自) 가는 길(辶)은 ‘가’이다. 周邊(주변) 海邊(해변)
4) The lower part of 臱 is 方 (spread) + 穴 hole → separate holes that are in close proximity. The addition of 自 (nose) specifies the apertures of a nose, the latter an object forming a border between the two sides of a face. 邊 is as per 臱 # (border) + 辵 movement → move to a *border*/*boundary* → *vicinity*; *end*; *edge* → *side* (of a polygon).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8)-Hanja in mathematics(28) (0) | 2022.08.17 |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3)-Hanja in elementary school(33) (0) | 2022.08.16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2)-Hanja in elementary school(32) (1) | 2022.08.12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26) - Hanja in mathematics(26) (0) | 2022.08.09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1)-Hanja in elementary school(31) (0) | 2022.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