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2) - 사용(使用), 소년(少年)
사용(使用) use, 使(부릴 사), 用(쓸 용)
일어: [使用: しよう 시요], 중어: 使用 [shǐyòng 시용!]
부리고 쓰다, 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씀. 국어, 1-2 01-026
使*부릴 사(人-8, 6급)
1) 使(사)․事(사)․吏(리), 이 세 글자가 갑골문시기(14c - 11c BC)에는 모두 같은 글자였으며, 붓을 들고 하는 일, 즉 ‘사무’(clerical work)와 관련. 후에 使자는 주로 ‘부리다’(employ) ‘심부름하다’(go on an errand) ‘하여금’(let) 등의 뜻을 나타냄.
2) 人+丈+口, 어른(丈)의 말씀(口)으로 사람(人)을 ‘하여금’ ‘시키는’ 것이다. 音은 吏의 변음이고 事(일사)와 통한다. 하여금 하는 말은 令(령)이고, 하여금 하는 일은 使다. 使役(사역) 使臣(사신) 使節(사절) 設使(설사)
3) 사람 인(亻=人)+아전/관리 리(吏) 관리가 아랫사람에게 일을 시킨다>부리다
4) 사(使)의 본뜻은 수렵 도구를 손에 들고 짐승을 잡는 것. ‘아전’ 리(吏)와 근원이 같은데 나중에 ‘사람’ 인(亻) 변이 붙어 ‘일을 하다, 시키다’라는 뜻으로 확대.
5) 吏 # official (n.) + 人 person → *messenger*/*envoy* dispatched on an *errand* or *mission* →*servant*; *work for* (another) → *use* (← make use of a functionary) → *make/force to do*.
用*쓸 용(用-5, 6급)
1) 用자는 나무로 만든 통 모양을 본뜬 것으로 ‘통’(a barrel)이 본래 의미, ‘쓰다’(use)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통’은 桶(통)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2) 「쓸용,쓰일용,부릴용,써용,재물용,그릇용,도구용,맡길용,통할용」(부수명칭=쓸용): 설문(說文)에는 卜+中으로 점(卜)이 맞치(中)면 그것을 ‘쓰는’ 것이다. 거북의 등이 터진 꼴이다. 거북 등에 점을 쳐서 좋으면 ‘쓴다’. 用度(용도) 使用(사용) 利用(이용)
3) 갑골문 연구에서는 ‘통’ 통(桶) 자의 초기 형태라고도 하고, ‘점’ 복(卜)과 점을 치는 데에 쓰는 골판[ㅂ]을 나타내는 것으로 골판에 이미 점을 칠 수 있는 징조가 나와 있기 때문에 그 징조에 따라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도 함.
4) A bronze tripod for offerings to the manes(조상의 영혼): use; usage << aptitude; efficacy; utility
5) this character depicts a stick being run through a rectangular board, piercing a hole → *use*; *action* → *have a need* → *go to the toilet* (← have a need to relieve oneself).
소년(少年) a boy, 少(적을 소), 年(나이 년)
일어: [少年: しょうねん 쇼넨], 중어: 少年 [shàonián 샤오니엔]
적은 나이,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아니한 어린 사내아이. 국어, 1-2 01-027
少*적을 소(小-4, 7급)
1) 네 개의 작은 점으로 이루어진 적을 소(少)자는 소(小)자와 같은 의미. 하지만 크기가 작다(small)는 작을 소(小), 양이 적다는 적을 소(少)를 사용합니다. 젊다는 의미는 나이가 적으므로 적을(few, little) 소(少)자를 사용.
2) 小+丿, 부피가 작은(小)것에 연속해서(丿) ‘수량이 적은 것’을 뜻한다. 또한 나이가 ‘젊은’ 것도 뜻한다. 音은 小다. 少年(소년)
3) 작은 물체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적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적다
4) 小# (small shavings) + 丿 (split) → small/slight, curled shavings split from a piece of wood → *few*; *little* (← insufficiency in volume or number) → *some* (← a small quantity).
年*해 년(干-6, 8급)
1) 年자의 본래 글자인 秊(년)은 가을걷이한 볏단을 짊어진 사람의 모습을 그린 것(禾+亻)으로 ‘수확’(harvest)이 본래 의미. 1년에 한번 수확하였기에 일찍이 ‘한 해’(one year)란 뜻도 나타냈고, 1년을 단위로 하는 ‘나이’(age)란 뜻으로도 쓰임.
2) 禾+千(천), 본래 벼가 익을 때를 표준으로 해서 禾와 千의 합자로 했으나, 지금 글자는 午(남방오)자에 一자로서 동서를 표시하고 북동의 중간에 점으로서 입춘점을 표시했으니 새‘해’이다. 무한히 이어지(連련)니 音은 ‘년’이다. 태양력을 기준하면 立春(입춘)이 새해가 되며 양력 2월 4일경이다. 해의 뜻을 갖는 한자는 世(세), 歲(세), 載(재), 秋(추), 春秋(춘추) 등이 있다. 今年(금년) 年歲(연세)
3) 벼 화(禾)+사람 인(人) 사람(人)이 벼(禾)를 이고 있는 가을은 한 해가 지난 때>해
4) Orig. from thousand (千) stalks (禾): a year's harvest; a year
5) 禾 grain/rice + 千 # (advance through luxuriant vegetation) → advance through crops in harvesting → *year*; *age* (← harvest as the end of a long agricultural cycle; compare 歳).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3)-Hanja in elementary school(43) (0) | 2022.10.24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7)-Hanja in mathematics(37) (1) | 2022.10.18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6)-Hanja in mathematics(36) (1) | 2022.10.11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1)-Hanja in elementary school(41) (1) | 2022.10.10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Hanja in mathematics(35) (1)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