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0) - 부분(部分), 간섭(干涉)
부분(部分) section, 部(가를 부), 分(나눌 분)
일어: [部分: ぶぶん 브븐], 중어: 部分 [bù‧fen 부우풴]
갈라 나눔, 전체에서 나눈 조각. 국어, 1-2 01-025
部*나눌 부(邑-11, 6급)
1) 部자는 漢(한)나라 때의 한 땅 이름을 적기 위한 글자, ‘고을 읍’(邑=⻏)이 의미. 咅(떼 부)가 발음 -> 剖(쪼갤 부). 후에 ‘거느리다’(head a party) ‘나누다’(divide) 등으로도 활용.
2) 고을 읍(邑/阝) + [떼 부(咅)] 사람의 무리나 떼를 의미하는 부(咅)자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고을 읍(阝)자가 추가. 고을에는 사람들이 떼를 지어 살기 때문. 마을, 부락(部落)이란 의미도 생김.
3) 咅 +⻏(邑), 고을(⻏)을 갈라{咅 부}서 ‘거느리는’ 것이다. 部落(부락) 部署(부서) 部分(부분)
4) 가를 부(剖)+고을 읍(阝=邑) 나라를 작게 나눈(剖) 고을(阝=邑)처럼 관청의 기능을 작게 나눈 것>분류
5) 咅 # (spread) + 邑 village/settlement → spread over *part* of a settlement → *section*; *group*. Also, (via "a part"), *counter* (for books/papers) and *radical/classifier* for a Han/Chinese character.
分*나눌 분(刀-4, 5급)
1) 分자는 ‘나누다’(divid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八’과 ‘刀’를 합쳐 놓은 것이다. 이 경우의 ‘八’은 ‘8’이 아니라 칼[刀]로 나누어 놓은 ‘두 동강’의 물체. ‘분별하다’(distinguish) ‘분수’(one’s status) ‘직분’(one’s duty) ‘몫’(share)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쓰인다.
2) 八(쪼갤팔)+刀(칼도), 칼(刀)로 쪼개(八)서 ‘나누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하늘에서 나누어준 天分(천분)과 사회에서 나누어준 職分(직분)이 있다. 일 등을 나누어 맡는 것은 분담(分擔), 분열(分列)은 각각 갈라져서 늘어서는 것. 분열(分裂)은 찢어져 나눔. 분외(分外)는 ‘제 분수 이상’의 뜻.
3) 칼 도(刀)+여덟/나눌 팔(八) 칼(刀)로 여덟 팔(八) 자 모양으로 가운데로 나눔(八)>나누다
4) To divide in half(八) with a knife (刀). A ‘minute’ is a division of time, a ‘point’ is a division of grades or levels, and ‘fen’ is the smallest denomination of Chinese currency. (1分 = 1/100元 = 1/10角)
간섭(干涉) interference, 干(간여할 간), 涉(관계할 섭)
일어: [干渉: かんしょう 간쇼], 干涉 [gānshè 깐슈]
간여하거나 관계함,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함
국어, 1-2 01-025
干*간여할/얼마 간(干-3, 4급)
1) 干자는 공격과 방어를 겸하는 무기인 방패 모양을 본뜬 것으로 ‘방패’(a shield)가 본래 의미. ‘범하다(공격)’(attack), ‘막다(방어)’(defend)라는 뜻으로도 쓰이며, 후에 ‘얼마’(a few; a bit)를 이르는 것으로도 활용.
2) 방패 간(干)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Y자 모양. 상대방이 칼이나 창으로 공격해오면 Y의 윗부분으로 막았을 것으로 생각됨. 이 모양이 변해서 干, 어조사 우(于)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에 유의. 방패 간(干)자는 부수이지만, 다른 부수를 만나 소리로 사용.
3) 자루달린 ‘방패’ 형상. 방패 겸 창을 상형한 것. 따라서 ‘침범한다’는 뜻.
4) 幹(줄기간)으로 통한 幹의 약자로 ‘줄기’란 뜻이 되어서 干支의 干자가 된 것이다. 干은 ‘방어하다, 막다, 방어를 위한 공격’을 뜻한다. 공격만 하는 것은 戈(창과)이고, 전체로 자신을 막는 방패는 盾(방패순)이다. 干涉(간섭) 干支(간지)
5) A depiction of a forked stick or *thick bar*, one functioning as a *shield* and employed by being *thrust* or pressed against a combatant in *defense*. *Dry*, *ebb*, *draw/drain off* and *empty* (a glass) are borrowed meanings.
涉*건널 섭(氵-10, 3급)
1) 물(氵)을 걸어서(步) 건넌다는 의미. 섭외(涉外)는 외부와 교섭하는 일
2) 氵+步, 걸어(步)서 물(氵)을 ‘건너는’ 것이다. 얕은 물을 걸어서 건넘은 涉, 깊이를 헤아려 건넘은 渡(도), 이미 건너 간 것은 濟(제)다. 干涉(간섭)
3) 물 수(氵=水, 氺)+걸음 보(步) 깊지 않은 시냇물(氵=水, 氺)을 걸어서(步) 건너다>건너다
4) 歩 here an abbreviated form# of 陟 climb + 水 water → *cross (over)* water in climbing → *be involved with/in* (← be concerned with affairs on both sides of a river).
'초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41)-Hanja in elementary school(41) (1) | 2022.10.10 |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5)-Hanja in mathematics(35) (1) | 2022.10.04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4)-Hanja in mathematics(34) (1) | 2022.09.27 |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39)-Hanja in elementary school(39) (1) | 2022.09.26 |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33)-Hanja in mathematics(33) (1)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