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14) - 書畵(서화), 上映(상영)
書畵(서화)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書(글 서), 畵(그림 화)
일어: [書画: しょが 쇼가], 중어:书画 [ shūhuà 슈 후아]
書畵(서화):글씨와 그림
書畵(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서화(書畵)와 골동품을 즐기는 취미.
The hobby which enjoy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e.
書*글 서(曰-10, 6급)
1) 書자의 聿(율)은 붓을 잡고 있는 모양, 하단의 ‘曰’은 먹물이 담긴 벼루의 모양에서 변화된 것, ‘날’이나 ‘말하다’와 관련을 지으면 잘못된 해석을 낳게 된다. ‘글을 쓰다’(write)가 본뜻인데, ‘책’(book)을 가리키기도 한다
2) 가로 왈(曰) + 붓 율(聿) 손(彐)으로 잡고 있는 붓(聿)과 벼루(日)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日은 날 일(日)과는 상관없이 그냥 벼루 모양.▶ 백면서생(白:흰 백 面:낯 면 書:쓸 서 生:날 생) : "흰 얼굴의 글 읽는 사람"이란 뜻으로, 글만 읽고 세상일에 어두운 사람.
3) 붓 률(聿)+가로 왈(曰) 성인의 말씀(曰)을 붓(聿)으로 적은 것> 글
4) 聿+曰, 붓(聿)이 말하(曰)는 것은 즉 ‘글쓰는’ 것이다. 따라서 써 놓은 책도 의미한다. 文으로 쓴 책은 書고, 書를 쓰는 글은 文이다. 書信(서신) 書籍(서적) 書類(서류)
5) 聿 (a writing brush) and 者 (sentences) > 日: to write; a book.
6) 者 (pile) + 聿 implement held upright to carve/draw characters → pile of documents comprising a written work (compare 著) → *book*; *document*;*letter*; *calligraphy*; *style of writing Han/Chinese characters*.
畵*그림 화(田-13, 6급)
1) 畵자는 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습인 聿(붓 율)자에 田(밭 전)과 凵(입 벌릴 감)이 합쳐짐. 이 경우의 田과 凵은 그림을 그려 놓은 모양을 나타내어 畫는 속자다. ‘그림’(a picture) ‘그리다’(picture)라는 뜻으로 쓰인다.
2) 聿(붓율)+田+囗, 밭(田)을 사방에 선(囗)으로서 구획한 것인데, 위에 율(聿)을 덧붙여서 붓으로 선을 ‘긋는’ 것이다. 따라서 ‘그림’이란 명사가 되었다. 映畵(영화) 版畵(판화) 畵家(화가)
3) 聿#feature of brush in a hand+田(planting field)+凵(open mouth)->making figures 田, 凵. 田 is relevant with meaning of field in this chracter
4) Originally, 晝# (demarcate(경계를 표시하다[정하다] in writing) + 聿 implement held upright to carve/draw characters →*demarcate*/*mark off* in writing → *draw*; *paint* → *drawing*; *picture*; *painting* →*stroke* (n.). Also, *plan* and *consider* (← written plan).
上映(상영) screening, showing 上(위 상), 映(비칠 영)
일어: [上映: じょうえい 조우웨이], 上映 [shàngyìng 샹이양]
上映(상영):영화관 같은 곳에서 영화를 관람객에게 보여주는 것.
上映(screening): an event in which a movie is shown to an audience
여러 극장에서 동시에 상영(上映)되는 영화가 화제에 올랐다.
The movie which is screening simultaneously in various theater became the topic.
上*위 상(一-3, 7급)
1) 上자가 갑골문에서는 ‘위’(upward)라는 뜻, 하나의 긴 기준선 ‘위’에 짧은 선을 하나 더 그어 지금의 ‘二’ 자와 비슷. ‘2’(two)를 뜻하는 ‘二’(당시에는 두 줄의 길이가 똑같았음)와 혼동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그것을 구분하기 위하여 ‘위’로 수직선을 세움. ‘꼭대기’(the top)나 ‘임금’(a king)을 뜻하기도 함.
2) 一을 기준으로 위에 한 점(丶)을 쳐서 ‘위’를 표시. 丨을 그어서는 위로 ‘올라가’는 것을 뜻한다. 이 두 가지 뜻을 합해서 音은 尙(높을상)으로 통한다. 古文에서는 二이다. 上下(상하) 上昇(상승) 上旬(상순) 上納(상납) 上聲(상성)
3) 二 in its original meaning: high; up, upon, superior, to mount
4) idea of rising *above* (contrast 下) → *up*; *upper*; *top* → *rise*; *raise*; *offer*. Other extended meanings include *ascent*; *readiness*; *completion
映*비칠 영(日-9, 4급)
1)日+央, 햇(日)빛이 가운데(央)에 오니 만물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이다. 音은 央의 변은. 햇빛이 비치는 것은 照(조), 그림자가 비침은 映이다. 映畵(영화)
2) 날 일(日) + [가운데 앙(央)→영] '해(日)가 하늘 가운데(央)에서 밝게 비치다' 극장에서 보는 영화(映畫)는 '스크린에 비치는(映) 그림(畫)'
3) 央 (center) + 日 sun/day → sun illuminate center, so shadow reflected all over the world (compare 影) →*reflection*; *projection* (← dark spot attending to sunlight striking an object) → *shade*;*shape*. Also, *match/go with* and *be conspicuous* (← reflect) → *be attractive* (← striking).
4) (of an image, etc.) appear because of the reflection of light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6)-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6) (0) | 2022.07.30 |
---|---|
중학교 교과서 한자(15)-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5) (0) | 2022.07.27 |
중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3) (0) | 2022.07.21 |
중학교 교과서 한자(1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2) (0) | 2022.07.18 |
중학교 교과서 한자(11)-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1)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