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15) - 一般化(일반화), 包括(포괄)
一般化(일반화) generalization, 一(하나 일), 般(범위, 돌 반). 化(될 화)
일어: [一般化: いっぱんか 이빤까], 중어:一般化 [yìbānhuà 이방후아]
一般化(일반화): 하나의 범위가 되는 것. 특별한 것을 흔한 것으로 만드는 것.
一般化(generalization): the act or process of forming opinions that are based on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이것은 과소비 현상의 일반화(一般化)를 보여주는 현상이다.
This phenomenon shows us that excessive consumtion is generalized.
一*한 일(一-1, 8급)
一자는 ‘하나’(one)라는 의미를 나타냄. 약 3,400년 전에 ‘하나’를 어떻게 나타낼까 고민 끝에 , 한 줄을 옆으로 쭉 끌어 놓자는 어떤 사람의 제안이 널리 받아들여짐. 후에, ‘첫째’(the first), ‘모두’(all), ‘어느’(some), ‘같다’(same) 등의 뜻으로도 쓰임.
Although '一' is sometimes said to represent an outstretched finger, the phonetic evidence suggests the fundamental idea is that of its cognate 壹 (unity of contents). 一 may therefore be regarded as an abstract representation of unity, or fullness → *one*.
般*일반 반(舟-10, 3급)
1) 般자는 배에 실어 ‘옮기다’(carry)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그마한 쪽배 모양을 본뜬 ‘배 주’(舟)가 의미 요소. 그런데 후에 ‘모두’(all)란 뜻으로도 활용되자 그 본래의 뜻은 따로 搬(반)자를 만들어 나타냄.
2) 배 주(舟) + 칠 수(殳) 칠 수(殳)자는 강위에서 배의 방향의 돌리기 위한 삿대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 그래서 원래의 의미는 배돌릴 반(般)자였으나, 가차되어 일반(一般)이란 의미로도 쓰임.
3) 舟(배주)+殳(창수, 몽둥이수),돛대(殳)로서 배(舟)를 ‘돌리는’ 것이다. 배를 돌릴 때 하나의 원을 그리니 그것은 ‘일반’적인 것이며 또 그 테두리 안을 상징한다. 返으로 통하니 하나의 테두리 안을 통칭한다. 一般(일반)
3) 배 주(舟)+막대 수(殳) 배(舟)에 물건을 싣고 막대(殳)로 저어 옮겨간다>나르다.
4) To make a boat (舟) move along, by repeated, regular strokes of the oars (殳): regular way; manner; equally
化*될 화(匕-4, 5급)
1) 化자의 원형은 ‘요술부리다’(give acrobatic feats). 바로 서 있는 사람과 거꾸로 선 사람이 합쳐진, 즉 재주를 부리는 모습을 본뜬 것. ‘바뀌다’(change) ‘되다’(be done) ‘달라지다’(alter) 등을 뜻함.
2) 사람 인(亻) + 비수/숟가락 비(匕) 바로 서 있는 사람 인(亻)과 거꾸로 서 있는 사람(匕)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 거꾸로 서 있는 사람은 죽은 사람을 의미. 즉 산사람과 죽은 사람이 서로 윤회하여 다른 형태로 변화(變化)하는 의미.
3)亻+匕, 원래는 교화하는 사람이다. 사람(亻)이 늙어서 ‘변화(匕)’하는 것이다. 敎化(교화) 變化(변화) 化學(화학)
4) To convert (匕) people (亻) by teaching them: to change
包括(포괄) inclusion, comprehence, 包(쌀 포), 括(묶을 괄)
일어: [包括: ほうかつ 호카츠], 중어:包括 [bāokuò 바오쿠어]
包括(포괄):일정한 범위나 한계 안에 모두 휩싸서 묶다. 있는 대로 온통 휩쓸어 모음.
包括(inclusion):including the stated limits and everything in between
몇 가지 안(案)들을 포괄(包括)한 새로운 안.
The new idea that embrace(include) some other suggestions.
包*쌀 포(勹-5, 4급)
1) 包자는 누구나 가장 처음에 입었던 옷, 즉 ‘태의’(胎衣, a fetal membrane)를 뜻하기 위하여, 태아[巳]를 감싸고[勹, 쌀 포]있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후에 이것이 ‘싸다’(pack) ‘감싸다’(protect) ‘꾸러미’(a package)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본래 뜻은 胞(태보 포)자를 만들어 나타냈다.
2) 勹+巳, 巳를 태아(胎兒)같은 형태로 보면 그것을 ‘싸고(勹)“ 있는 것이다. 音은 勹이다. 包裝(포장) 包含(포함)
3) 싸다/구부리다 포(勹)+뱀/자식/태아 사(巳) 태아(巳)가 어미니 배속에 싸여있다(勹)>싸다, 포함하다
4) A depiction of a placenta/womb that envelops a fetus → *envelop*; *wrap*.
5) Foetus (巳) contained (勹) in the womb: to wrap up; to contain
括*묶을 괄(扌-9, 1급)
1) 손 수(扌) + [물소리 괄(舌)] 扌+舌, 손(扌)으로 주머니 입을 ‘홀쳐 닫는(舌)’ 것이다. 音은 舌의 변음이다. 括弧(괄호)
2) 손 수(扌=手)+ 졸라매다/혀 설(舌) 불필요하게 말을 하여 손(扌=手)으로 혀(舌)를 묶어 두고 싶다>묶다(tie up)
3) 舌 (enclose) + 手 hand/action indicator → *enclose* by fastening, thereby including objects within → *fasten*, *include*. Also, *tie* and *bind* (← methods of fastening).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17)-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7) (0) | 2022.08.02 |
---|---|
중학교 교과서 한자(16)-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6) (0) | 2022.07.30 |
중학교 교과서 한자(14)-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4) (0) | 2022.07.24 |
중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3) (0) | 2022.07.21 |
중학교 교과서 한자(1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12)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