塗 炭 之 苦 (도탄지고)-the bitterness of smearing charcoal(dire straits)
塗 炭 之 苦 (도탄지고)
塗(진흙 도), 炭(숯 탄), 之(어조사 지), 苦(쓸 고)
진흙탕과 숯불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탐관오리의 학정(虐政)에 시달려 고통스러운 생활을 한다는 의미.
smear charcoal: smear mud and charcoal ash. It is a metaphor for being trapped in mud and charcoal fire, in an extremely difficult situation.
【유의어】1. 苛斂誅求 (가렴주구): 탐관오리(貪官汚吏)의 행태 2. 酒池肉林 (주지육림): 퇴폐와 향락에 빠진 위정자의 행태.
【반의어】1. 堯舜時代 (요순시대)2. 太平聖代 (태평성대)
塗*진흙/칠할 도(土-13, 3급) 涂(tú)
1) 흙 토(土) + 물 수(氵) + [나 여(余)→도] 흙(土)에 물이 들어가(涂)서 이겨진 것을 물체에 ‘바르는-painting’ 것이다. 혹은 ‘길-road’이란 뜻으로 途(도)와 혼용한다. 塗料(도료) 塗褙(도배) 塗炭(도탄)
2) 흙 토(土)+도랑/개천 도(涂); 도랑(涂)의 흙(土)은 진흙일 경우가 많다>진흙(mud)
3) 余# (stretch) + an element combining 水 water and 土 earth → stretch in spreading coats of *mud* over
a wall → *coat* → *paint*; *get muddy*.
炭*숯 탄(火-9획, 5급) 炭(tàn)
1) 炭자는 ‘숯’(charcoal)을 뜻하기 위한 것으로 산(山)의 벼랑[厂․한] 아래 있는 나무에 불[火]이 나서 타고난 나머지를 가리키는 것이다. 후에 ‘재’(ashes) ‘석탄’(coal)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사용됐다.
2) 뫼 산(山) + 재 회(灰) 산(山) 속에 묻혀 있는 재(灰)가 석탄(石炭)이란 의미
3) 산기슭(屵)에 굴을 묻고 불(火)기운으로 만든 연료인 ‘숯’이다. 音은 屵(안)의 변음이다. 또한 산(山)에서 나오는 재(灰)가 되는 원료라 해도 될 것이다. 炭素(탄소) 石炭(석탄)
4) From 屵 (steep slope of a high mountain) and 火(fire): charcoal. 屵 nàn is also phonetic.
5) 屵 is 山 mountain + 厂 cliff/shape indicator → mountain cliff/crag. 炭 is 屵 # + 火 fire → fuel source dug from outcroppings → *coal* → *charcoal*; *carbon*
之*갈/어조사 지(丿-4획, 3급) 之(zhī)
1) 상형문자를 보면 발(止) 아래에 선(一)이 하나 그려져 있음. 선은 아마도 출발선이나 도착선으로, 가(go)거나 이른다(arrive)라는 뜻이 생김. "간다"라는 뜻보다는 어조사로 많이 사용.
2) 본래 一(지면)+屮(움)의 변형으로, 땅(一)에서 움(屮)이 커서 태양을 향해 올라 ‘간다’는 뜻이다. 가버리는 것은 去(거)이다.
3) 㞢: a small plant (屮) ascending from the ground (一): to grow; development; progress; continuity. Both form and meaning changed considerably over time.
苦*쓸 고(艸-9, 6급) 苦(kǔ)
1) 苦자는, 부수이자 의미요소인 ‘풀 초’(艸)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뜻은 풀과 관련. 즉 ‘씀바귀’(a bitter lettuce)를 가리키며, 古(옛 고)는 발음. 씀바귀는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쓴맛’(bitter)이나 ‘아픔’(an ache)을 형용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풀 초(艹) + [옛 고(古)] 풀(草)이 말라서 옛(古)것으로 되어 맛이 ‘쓴’ 것이다. 따라서 인생에서 맛이 쓴 ‘괴로운’ 것을 뜻한다. 苦惱(고뇌)
3) 풀 초(艹) + 예 고(古); 풀(艹)이 오래되면(古) 쓴맛이 생긴다>쓰다
4) 古 # hard; dried out + 艸 grass/plant → *bitter* plant that makes the mouth go dry → *stubborn*;*pain*; *agony*; *suffering*; *hardship*; *trying* (experience); *exert oneself*; *worry*;*distress*; *pressure*; *torment*; *torture*; *be at a loss*; *embarrassment*.
塗 炭 之 苦 (도탄지고)의 유래
하(夏)나라는 걸왕(桀王)이 학정을 일삼다가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에게 망하였다. 탕왕이 무력 혁명으로 왕위를 얻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자 중훼가 말하기를, ‘하나라가 있었으나 왕의 덕이 부족하여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므로[有夏昏德 民墜塗炭] 하늘이 왕에게 용기와 지혜를 주시어 만방에 옳음을 전하고, 우왕 때의 아름다운 관습을 복구하게 하셨으니, 그 떳떳함을 따르시고 하늘의 시키는 바를 따르셔야 하나이다.’라고 하였다.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38)-four words idiom(38)-生 巫 殺 人 (생무살인) (1) | 2022.12.04 |
---|---|
사자성어(37)-four words idiom(37)-射 空 中 鵠 (사공중곡) (1) | 2022.12.03 |
사자성어(35)-four words idiom(35)-猫 頭 縣 鈴 (묘두현령) (1) | 2022.11.29 |
사자성어(34)-four words idiom(34)-發 憤 忘 食 (발분망식) (1) | 2022.11.28 |
사자성어(33)-four words idiom(33)-百 年 河 淸 (백년하청) (1) | 2022.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