猫 頭 縣 鈴 (묘두현령)-Tie a bell around the cat's neck
猫 頭 縣 鈴 (묘두현령)
猫(고양이 묘), 頭(머리 두), 縣(매달 현), 鈴(방울 령)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의논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It means to put a bell around the cat's neck, a metaphor for discussing an impossible things.
【동의어】▶ 猫項懸鈴 (묘항현령):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猫*고양이 묘(犭-12, 1급) 猫(māo, máo)
1) 개 견(犭) + [싹/모 묘(苗)] (=貓)고양이묘,닻묘: 여름에 곡식 싹(苗)을 해치는 짐승(犭)을 사냥해 잡는 것이다. 쥐를 잡는(苗) 짐승(犭)은 ‘고양이-cat’다. 豸변에도 쓴다(貓).
2) 개 견(犭=犬)+싹 묘(苗); 묘목(苗)처럼 수염이 난 동물(犭=犬)>고양이
3) 犬 dog/beast + 苗# for the sound alone to simulate the mewing of a *cat*.
頭*머리 두(頁-16, 6급) 头(tóu)
1) 頭자는 ‘머리’(the head)를 뜻하기 위한 글자, ‘머리 혈’(頁)이 의미, 豆(제기 두)는 발음. 후에 ‘우두머리’(the boss) ‘첫머리’(the start) ‘끝’(the tip) ‘가’(a side) 등으로도 확대 사용.
2) 豆+頁, 나무그릇(豆)처럼 바로 서있는 ‘머리’(頁)다. 어깨에 직각으로 선 머리는 頭고, 전체에서 최고로 있는 머리는 首(수)다. 頭角(두각) 頭腦(두뇌)
3) 머리 혈(頁)+콩/나무그릇 두(豆): 멀리 보면 콩(豆)처럼 작게 보이는 머리(頁)의 한 부분>뒷머리
4) 豆# bean + 頁 head → bean- shaped *head* → *head* (of a group); *leader*; *top*. Also, *hair* (on the head), *beginning* (compare 元), *brains*, *intellect* and *the mind*, as well as *counter for certain animals* (compare English "head of cattle").
縣*고을/매달 현(心/忄-20, 3급) 县 [xiàn 씨애]
1) 머리를 줄에 매어다는(hang) 모습을 본떠 만든 현(縣)자에 마음 심(心)이 붙어 여전히 매단다는 뜻을 가지고 있음. 마음 심(心)이 붙은 연유은 정확하지 않지만 오랜동안 마음에 남아있는 것이 마음에 매달려 있다고도 함.
2) 首(를 거꾸로 쓴 글자)+系(이을계) , 실줄(系)로서 머리(首)를 거꾸로 ‘매다는(hoist)’ 것이다. 또한 군(郡)을 머리(首)로 매인(系) 지방, 즉 행정구역으로 명칭하였다. 縣은 진대(秦代)에 郡의 구역이름으로 쓰였다. 단다는 뜻으로는 心자를 붙인 懸으로 쓴다.
3) 눈 목(目)+감추다/싸다 혜(匸의 변형)+작다 소(小)+맺다 계(系) 사람들이 눈(目)에 잘 띄게 죄인의 머리를 작게(小)천에 싸서(匸) 매달(系)아 놓은 곳>매달다
4) 県# (be suspended) + 系 connection → be connected in hanging suspended → *hang suspended in-between* → *prefecture* (← political unit suspende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鈴*방울 령(金-13, 1급) 铃(líng)
1) 쇠 금(金) + [하여금/영 령(令)] 무엇을 전령(傳令)하기 위한 소리내는 쇠(金)는 ‘방울-bell’이다. 무엇을 하여금 하는 방울은 <鈴(령)>이고, 수레에 장식하는 방울은 鑾(방울란)이다.
2) 쇠 금(金)+명령 령(令); 명령(令)을 전하여 알리듯 소리로 알리는 쇠(金)로 만든 물건>방울
3) 令# (long sequence) + 金 metal → *bell* that gives off a long sequence of peals. Compare 鐘.
猫 頭 縣 鈴 (묘두현령)의 유래
쥐들은 고양이 때문에 항상 위협을 느끼고 있는데, 그 중 한 마리가 ‘우리들 중 하나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매달아 두면 그 방울 소리를 듣고 고양이가 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어 위험을 면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이에 쥐들은 모두 좋은 의견이라 기뻐하였으나, 정작 고양이의 목에다 방울을 달 쥐가 없었다는 우화에서 나온 말이다.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37)-four words idiom(37)-射 空 中 鵠 (사공중곡) (1) | 2022.12.03 |
---|---|
사자성어(36)-four words idiom(36)-塗 炭 之 苦 (도탄지고) (0) | 2022.11.30 |
사자성어(34)-four words idiom(34)-發 憤 忘 食 (발분망식) (1) | 2022.11.28 |
사자성어(33)-four words idiom(33)-百 年 河 淸 (백년하청) (1) | 2022.11.27 |
사자성어(32)-four words idiom(32)-屠 龍 之 技 (도룡지기) (0)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