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 斧 斫 足 (지부작족)-Stabbed in the back
知 斧 斫 足 (지부작족)
知(알 지), 斧(도끼 부), 斫(벨 작), 足(발 족)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힌다는 뜻의 우리말 속담을 한역한 것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knowing the ax to chop the foot. It is a metaphor that something that I thought was going well went against my original intention, or someone I trusted betrayed me and suffered damage instead.
知*알 지(口-8, 5급) 知(zhī)
1) 입 구(口) + [화살 시(矢)→지] 안다(知)-know는 것은 화살(矢)이 과녁을 맞히듯 정확하게 말(口)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2) 사물에 대해서 알고 있으면 화살(矢)처럼 말(口)이 빨리 나간다>알다
3) 矢+口, 과녁(的)을 맞추는 화살(矢)처럼 진리에 맞는 말(口)은 ‘아는’ 것이다. 音은 矢의 변음이다. 아는 동사는 知인데 아는 능력은 智니 밝게(日) 아는(知) 것이다. 知識(지식)
4) 矢# arrow in flight + 口 mouth → knowledge allowing one to *speak to the essence of a matter*
with the directness of an arrow in flight → *know*; *understand*; *realize*; *discover/notice* (the truth); *distinguish* (the truth) (← have the knowledge and insight to speak unerringly) →
*intelligence* → *inform*; *notify*; *report*; *news*. Also, *omen* (← have advance knowledge of), *experience* and *feel* (← understand through experience and feeling) →*concern oneself*; *acquaintance* (← person one knows).
斧*도끼 부(斤-8, 1급) 斧(fǔ)
1) 도끼 근(斤) + [아버지 부(父)] 도끼 근(斤)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아비 부(父)자가 합쳐진 글자. 도끼는 매우 무거워서 집안에서 아버지(父)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된 것으로 짐작.
2) 金文(금문)에서는 ‘돌도끼(石斧․석부)를 들고 있는 모습’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는 父가 ‘아버지’(father)란 뜻으로도 활용되자, 본뜻인 斧(도끼 부)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냄 돌도끼(stone ax)가 본뜻.
3) 날 근(斤)+아비 부(父); 사람의 아버지(父)처럼 도끼(斤)의 엄격한 부분>도끼날
4) 父 # (hand spread over an ax handle) + 斤 ax → *ax*; *hatchet* → *chop*. 斧 was devised to replace 父 after 父 came to mean "father."
斫*찍을작(斤-9, 특급) 斫(zhuó)
1) 石+斤, 돌(石)처럼 무거운 도끼날(斤)로 쳐서 물건을 ‘쪼개-chop’는 것이다. 도끼로 쪼개는 것은 斫, 칼로 쪼개는 것은 剖(쪼갤부), 사리를 쪼개는 것은 析(가를석)이다.
2) 날/도끼 근(斤)+돌 석(石); 도끼날(斤)로 돌(石)처럼 단단한 것을 쪼개다>쪼개다
3) 石# stone + 斤 ax → *chop/hack off* with a stone ax.
足*발/넉넉할 족(足-7, 7급) 足 [zú]
1) 足자 상단의 ‘口’도 ‘입’과는 무관하다. 장딴지 부분을 나타낸 것이 변화됨. 하단은 발바닥 부분을 가리키는 止자의 변형. ‘발’(a foot)이 본뜻이고, ‘발자국’(a footprint) ‘충분하다’(full, enough)는 뜻으로도 쓰임.
2) 발 족(足)자는 장딴지 모양을 나타내는 口자와 발바닥 부분을 나타내는 그칠지(止) 자가 합쳐진 글자. 발이나 발자취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
3) 무릎과 정강이 아래. 口는 발가락을 합한 것이고, 止는 발꿈치를 표시한 것이다. 口는 넓적다리와 정강이를 상형하고, 止는 발을 상형. ‘발’은 움직이다가 그치는 것이므로, 욕심이 그치는 ‘만족’을 뜻한다. 手足(수족) 滿足(만족) 洽足(흡족) 豊足(풍족)
4) A foot at rest. The motionless state is indicated by 口 << feet
5) A depiction of a *leg*/*foot*. Conceptually, the Old Chinese term attached to 足 would have involved compression or compaction (compare the cognate 束), for instance, in compacting an object by stamping or trampling it → *sufficient*; *ample* (← compact sufficiently/amply for the purpose) → *serve a purpose*. Also, *add*/*supplement* (← add material to that being compacted) → *compensate* (for); *aid*.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33)-four words idiom(33)-百 年 河 淸 (백년하청) (1) | 2022.11.27 |
---|---|
사자성어(32)-four words idiom(32)-屠 龍 之 技 (도룡지기) (0) | 2022.11.22 |
사자성어(30)-four words idiom(30)-孤 掌 難 鳴 (고장난명) (0) | 2022.11.20 |
사자성어(29)-four words idiom(29)-欲 速 不 達 (욕속부달) (0) | 2022.11.19 |
사자성어(28)-four words idiom(28)-一 葉 知 秋 (일엽지추) (0) | 2022.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