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사자성어(101)-four words idiom(101)-발산섭수(跋山涉水)

by propup77 2023. 6. 7.

발산섭수(跋山涉水): walking on the mountain, crossing the river on foot.
跋(밟을 발), 山(메 산), 涉(건널 섭), 水(물 수)

산을 넘고 물을 건너다. 힘들고 오랜 여행을 하다.
풀 섶 길을 가는 것을 발(跋)이라 하고 물길을 가는 것을 섭(涉)이라 한다.
Over the mountains and across the water. to make a difficult and long journey.

발산섭수(跋山涉水) 영어속담

"He that goes far has many encounters."
멀리 가는 자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멀리 가는 사람은 마주 치는 것이 많다"는 속담은 여행을 많이 하고 새로운 것을 경험할수록 더 많은 사람을 만나고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의미. 여행은 새로운 장소를 보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다른 문화를 배우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말.

The proverb "He that goes far has many encounters" means that the more you travel and experience new things, the more people you will meet and the more experiences you will have. It is a reminder that life is about more than just staying in one place and doing the same things all the time. It is about stepping outside of your comfort zone and exploring the world around you.

발산섭수(跋山涉水) 한자 분석

跋*밟을 발(足-12, 1급) 跋(bá-바)

1) 발 족(足) + [달릴 발(犮)] 犮은 개(犬)가 벌판으로 달려(丿)가는 것이다. 발(足)로 뛰어나가는 것이나 "to walk with one's feet". 또한 足(족)의 끝이란 뜻으로서 책 끝에 붙여서 그의 내력(犮)을 쓴 것을 의미한다. 跋文(발문 "postscript" or "afterword")

2) 발 족(足)+( 달리다/뽑다 발(犮); 농작물이 뽑힐까(犮) 발(足)로 밟다;밟다

3) 犮 # (split away) + 足 leg/footleg splitting from the earth in climbing*tread*. *Epilogue* is a borrowed meaning.

4) 跋 refers to a postscript or appendix that is added to the end of a book. The 跋 typically contain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ook, such as the author's thoughts on the writing process, the book's reception, or the book's historical significance.

山*뫼 산(山-3, 8급) 山 [shān 쌴], [山: やまYa ma, -さん-san]

1) 山자는 세 봉우리의 산 모양을 본뜬 것이니 ;산-mountain 을 가리키는 것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삼형제봉이 연상된다.

2) 땅위의 산 꼴. 지평선 위로 솟아 있는 세개의 봉우리를 상형한 것. 산에서는 초목 금수와 금은 동철을 생산(生産)하니 音은 산 이다. 山이 솟은 것은 峰(봉)이고, 벗어 간 등은 岡(산등성이강)이다. 山林(산림) 山神(산신) 山寺(산사) 山所(산소)

3) 메 산;山)은 이어진 산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부수로 쓰여 산과 관련된 내용을 나타냄. 흔히 ;산수갑산; 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데 본래 ;삼수갑산(三水甲山); 삼수와 갑산은 모두 북한 함경남도에 있는 지명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곳으로 알려져 있고,조선 시대에는 귀양지. 그래서 ;삼수갑산을 간다;는 것은 어려운 지경에 이르는 것을 가리키게 됨.

4) three rocks on the top of a mountain, A depiction of a *mountain* with sharp ridges in close proximity*mound*; *heap*. *Temple*and *mine* are on account of such facilities often being situated in mountains.

涉*건널 섭(氵-10, 3급) 涉(shè-셔)

1) 물(氵)을 걸어서(步) 건넌다는 의미. 섭외(涉外)는 외부와 교섭하는 일

2) 氵+步, 걸어(步)서 물(氵)을 ;건너는; 것이다. 얕은 물을 걸어서 건넘은 涉, 깊이를 헤아려 건넘은 渡(도), 이미 건너 간 것은 濟(제)다. 干涉(간섭)

3) 물 수(氵=水, 氺)+걸음 보(步) 깊지 않은 시냇물(氵=水, 氺)을 걸어서(步) 건너다;건너다

4) 歩 here an abbreviated form# of 陟 climb + 水 water*cross (over)* water in climbing*be involved with/in* (be concerned with affairs on both sides of a river).

水*물 수(水-4획, 8급) 水(shuǐ)

1) 水자는 ;시냇물;(brook water; a stream)이란 뜻, 시냇물이 굽이쳐 흐르는 모습. 후에 일반적 의미의 ;물;(water)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

2) (부수명칭=물수,氵=삼수변,氺=아래물수): 흐르는 물을 상형.

3) A depiction of a long, winding flow of *water*.

4) The central stroke repr. a brook(개울), a rivulet(시내, 개울), the sides repr. waves or whirls(소용돌이) in the water.

발산섭수(跋山涉水)의 유래

발산섭수(跋山涉水)는 산을 넘고 물을 건넌다는 뜻으로, 멀고 힘든 여정을 나타내는 말. 이 표현은 고난을 겪으며 목표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의지와 인내를 상징한다.

시경은 중국 문학의 시작으로 간주되며 역사, 사회, 경제 등 당시 실상을 언급하는 중요한 역사적 문헌으로, 발산섭수(跋山涉水)는 시경 중 국풍(國風) 용풍(鄘風) 재치(載馳)편에서 따온 표현이다. 이 시에서는 왕비가 남편을 위로하려고 힘든 여정을 떠나 고생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재치 편에 따르면, 왕비는 남편이 위로를 받기 위해 수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그 여정을 포기하지 않고 산을 넘기도 하고, 물을 건너기도 했다. 결국, 왕비의 이러한 노력으로 그들이 원하는 목표를 이루게 된다. 이 이야기를 통해 발산섭수(跋山涉水)는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을 겪으며 결과를 얻기 위한 노력을 강조한 표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오늘날 발산섭수(跋山涉水)는 어려움에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전진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인용되며, 이 표현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과 인내에 대한 강렬한 이미지를 주는 말로 널리 사용된다. 이처럼 발산섭수(跋山涉水)는 고대 중국 시에서 시작하여 현대까지 전해져오는 중요한 표현으로 남아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