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교과서 한자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1)-hanja in high school textbook(41)

by propup77 2023. 7. 2.

超脫(초탈) transcendence, 超(넘을 초), 脫(벗어날 탈)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1)-超脫(초탈), 歪曲(왜곡)

超脫(초탈) transcendence, 超(넘을 초), 脫(벗어날 탈)
일어:超脱[ちょうだつ 조다쯔], 중어:超脱[chāotuō 차오투어]
세속을 벗어남

… 모든 편견으로부터 초탈하여 자유로운 비평정신으로 진리를 추궁하게 될른지도 모른다.
... may have been freed from all prejudice and led to the search for truth with a free spirit of criticism.

 

 

超*뛰어넘을 초(走-12, 3급) exceed; surpass; overtake

1) 超자는 ‘뛰어넘다’(jump over)는 뜻, ‘달릴 주’(走)가 의미, 召(부를 소)가 발음- 貂(담비 초).

2) 달릴 주(走) + [부를 소(召)→초] 높은 곳에서 어른이 부르(召) 면 달려(走) ‘뛰어오는’ 것. 音은 召의 변음이다. 뛰어 빨리 가는 것은 跳(뛸도)고, 뛰어 올라가는 것은 躍(뛸약)이다. 超越(초월) 超人(초인)

3) 달아나다 주(走)+부르다/초래하다 소(召) 목표를 훨씬 달아나는(走) 결과를 부르다(召)>뛰어넘다

4) 召 # (curve) + 走 run → describe an arc in leaping obstacles → *exceed*; *surpass*; *go beyond*; *cross/go over*; *super-*; *ultra-*; *distant*. Compare 越.

 

脫*벗을 탈(肉-11, 4급) 脱(tuō)

1) 脫자는 ‘고기 육’(肉=月)이 의미, ‘고기’나 ‘살’과 관련. 兌(바꿀 태)가 발음, 侻(추할 탈)이나 梲(막대기 탈)처럼 'ㅌ'을 발음으로 차용. ‘살이 바싹 마르다’(become thin; lose flesh)가 본뜻, ‘빠지다’(leave; drop out) ‘벗어나다’(get out of ) 등의 의미.

2) 고기 육(肉/月) + [기쁠 태(兌)→탈], 兌는 사람(儿)이 입(口)을 벌려(八)서 기운이 발산하는 것, 몸(肉)의 기운이 ‘빠지는’ 것이다. 또 벗겨지는 뜻도 된다. 音은 兌의 변음이다. 解脫(해탈) 離脫(이탈) 超脫(초탈) 脫盡(탈진)

3) 살(月=肉)에서 뼈를 없애다(兌)→빠지다

4) 兌 # (strip away) + 肉 flesh → strip away meat from bone → *take/strip off* → *undress*; *come off*; *omit*; *escape*. → Thanks to the gods’ blessings, he has escaped the pain of the flesh(肉) and changed(兑) his life.

 

歪曲(왜곡) distortion, 歪(비뚤어질 왜), 曲(굽을 곡)
일어:歪曲[わいきょく 와이교꾸], 중어:歪曲[wāiqū 와이츄]
사실과 다르게 곱새김

학문에 진리 탐구 이외의 다른 목적이 섣불리 앞장설 때, 그 학문은 자유를 잃고 왜곡된 염려조차 있다.
When a discipline is dominated by purposes other than the search for truth, it can lose its freedom and even become distorted.

 

 

歪*기울 왜(止-9, 2급) 歪(wāi, wǎi)

1) 아닐 부(不) + 바를 정(正) 바르지(正) 않(不)고 ‘삐뚤어-crooked’진 것이다. 중국음은 ‘왜’라 하나, 삐뚤어짐은 한쪽으로 倚(의지할의)한 것이라 音이 ‘의’가 옳을 것이다. 歪曲(왜곡) → 喎(=咼,입 비뚤어질 괘{와})

2) 不(아닐 부)+正(바를 정); 바르지(正)+않다(不)>비뚤다

3) What is not (不) correct (正)

 

曲*굽을 곡(曰-6획, 5급) 曲(qū, qǔ)

1) 曲자는 ‘굽다’(ben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굽은 자, 즉 ‘곱자’의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굽히다’(bend down) ‘가락’(a melody) 등으로 확대 사용. 부수가 ‘曰’(왈)임을 알기 힘들다.

2) 凹자 모양의 그릇이다. 전자(篆字)로는 凹자 비슷한 글자로 곡선 모양인데 해자(楷字)로 변한 것이다.

3) 曰+11, 말(曰)하는것을 두선(11)으로서 방해하니 ‘굽어진’ 것이다. 말이 굽어진 듯 하는 것은 ‘노래 가락’이다. 曲자는 지금의 오선 악보와 근사하여 음악의 곡을 뜻하게 되었다. 曲線(곡선) 曲盡(곡진) 作曲(작곡) 曲調(곡조)

4) 굽은 대바구니의 모습을 본뜬 글자>굽다

5) A depiction of a curved ruler or measuring implement → *bend*; *curve* → *tilt*; *turn*;
*crooked*; *distorted* → *melody* (← tune which alternates high and low note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