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교과서 한자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0)-hanja in high school textbook(40)

by propup77 2023. 6. 20.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0)-嫌疑(혐의), 言渡(언도)

嫌疑(혐의) suspicion;charge, 嫌(싫어할 혐), 疑(의심할 의)
일어: 嫌疑 [けんぎ 겐기], 嫌疑 [xiányí 시앤이]
꺼리고 싫어함, 범죄를 저질렀으리라는 의심
Reluctance and dislike, suspicion of having committed a crime

嫌*싫어할 혐(女-13, 3급) 嫌(xián)

1) 女(여자녀)+[겸할 겸(兼)→혐], 두 여자(女子)를 한 남자가 겸(兼)해서 사귀면 혐의-suspicion가 있다. 音은 兼의 변음이다. 감정적인 의심은 嫌(혐)이고, 의지적인 의심은 疑(의)다. 嫌疑(혐의) 嫌惡(혐오)

2) 계집 녀(女)+겸하다 겸(兼); 두 마음을 겸한(兼) 여자(女)는 의심 받는다>싫어하다.

3) 兼 # (gather then put/store away → keep concealed) + 女 woman → woman kept concealed → *disagreeable*/*unpleasant* (← disagreeable situation) → *hate*; *dislike*; *antipathy*; *unwilling to do* (← shrink from) → *doubt*.

疑*의심할 의(疋-14, 4급) 疑(yí)

1) 疑자는 갑골문에도 등장된다. 그 자형은 갈래 길을 만난 사람이 어느 쪽으로 가야할지를 몰라 망설이는 모습. 알듯 말듯하다(dubious)가 본뜻, 의심하다(doubt) 두려워하다(be afraid of) 등으로 확대 사용.

2) 𠤕 (정하지못할의)+子의약자+疋(발소,足), 아이(子)의 발(疋)이 갈 곳을 정하지 못한(𠤕) 것이니 의심하는 것이다. 어디(或)로 갈지 모르는 마음(心)은 惑(의심할혹)이다. 疑心(의심) 疑問(의문) →矣(어조사의)

3) 비수 비(匕)+화살 시(矢)+발/발/바르다 필(疋); 비수(匕)와 화살(矢)을 들고 발(疋)에 떨어뜨릴까 걱정되다>의심하다

4) 矣# (come to a stop) + an obsolete element of unclear composition and signification.
*Question* may be regarded as originating in the idea of "stop and interrogate a person," leading to the associated meanings *suspicion* and *doubt*.

言渡(언도) a sentence, 言(말씀 언), 渡(건널 도)
일어:言渡[いいわたす 이이와다스], 중어:言渡[Yán dù 옌뚜]
중대한 사실을 선언하여 알림, 宣告(선고)의 舊法上(구법상)물의 용어
Notify by declaring a material fact

言*말씀 언(言-7, 6급) 言(yán)

1) 言자는 말(speech)을 뜻하기 위해서 고안된 글자, 최초 자형은 혀가 입(口) 밖으로 길게 튀어나온 모습을 하고 있다. 이 글자는 길고도 세차게 잘하는 말을 뜻하는 長廣舌(장광설)이란 단어를 연상시킴.

2) 䇂(허물건)+口, 곧바로 말하는 것을 言이라 한다. 음은 䇂(허물건)의 변음이다.

3) 二(上)+二(下)+口(입),위아래로 입을 움직여서 말을 하다. 言語(언어) 言辯(언변)

4) 말(口)로 서로 신랄(辛)하게 따지다>놀란하다

5) The relevant oracle bone form of this character is 辛 # needle/cutting tool + 口 mouth → *speak* sharply/distinctly, the tongue likened to a needle in the mouth → *words*; *say*; *talk*; *tell*; *express*; *order*; *call*; *mean*; *speech*.

渡*건넬 도(水-12, 3급) 渡(dù)

1) 渡자는 물을 건너다(cross over)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물 수(水)가 의미 度(법도 도)는 발음. 후에 건네다/넘겨주다(transfer)는 뜻도 따로 글자를 만들지 않고 이것으로 나타냈다.

2) 물 수(氵) + [헤아릴 탁(度)] 물(氵)깊이를 헤아려(度) 가면서 건너는 것이다. 걸어서 건너는 것은 涉(섭)이고, 이미 건너간 것은 濟(제)다. 渡江(도강)

3) 度 # (pile in increments) + 水 water → *ferry* piles of objects across a river in increments → *cross* (a river) → *hand over* (← pass from one hand to anothe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