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7) - 櫛比(즐비), 酷毒(혹독)
櫛比(즐비) stand in a row, 櫛(빗 즐), 比(견줄 비)
일어: 櫛比 [しっぴ- 십삐], 중어: 栉比[zhìbǐ 쯔비]
빗의 살처럼 빽빽이 늘어섬
그가 즐겨 거닐던 서강 일대에는 고층 건물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다.
The Seo-river area, where he enjoyed walking, is lined with skyscrapers.
櫛*빗 즐(木-19, 1급) 栉(zhì)
1) 나무 목(木) + [마디 절(節)→즐] 나무(木)조각을 절(節)도있게 잇날을 만들어서 머리를 빗는 ‘빗-comb’이다. 音은 節의 변음이다. 빗의 이처럼 서로 연접해 있는 것을 즐비(櫛比)라 한다. 櫛比(즐비)
2) 나무 목(木)+마디/단락/절개 절(節); 나무(木)를 적당한 마디(節)로 잘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만든 머리를 빗는 도구>빗
3) 節 # (be in proximate alignment) + 木 tree/wood → *comb* (with evenly spaced teeth; compare 梳) → *line up tightly*.
比*견줄 비(比-4획, 5급) 比(bǐ, bì)
1) 比자는 ‘친하다’(intimate)는 뜻을 위해 고안된 글자, 바짝 뒤따라가는 두 사람을 그린 것. ‘따르다’(follow) ‘돕다’(help)는 뜻으로 확대 사용되기도 했지만, 때로는 둘이서 토닥거리거나 겨눌 때도 있기 때문인지 ‘겨루다’(compete) ‘견주다’(compare)는 뜻으로도 사용됐다.
2) 비수/숟가락 비(匕) + 비수/숟가락 비(匕) 견줄 비(比)는 두 사람이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 형상의 상형문자다. 두 사람이 무언가 겨루기 위해 출발선에 서 있는 모습. 견줄 비(比) 자는 5획이 아니라 4획임에 유의.
3) 원래는 ‘빽빽하다’는 뜻이다. 人+人, 두사람(人)을 나란히 놓고 ‘견주어’ 보는 것. 또는 匕+匕, 숟가락(匕) 두 개를 ‘견주어’ 보는 것을 뜻한다. 音은 匕(비)이다. 比較(비교) 比例(비례)
4) An inverted form of 从: to effect a union, to follow, to cooperate, to plot.
5) (derived from the above) to draw a parallel between; to compare; rank
酷毒(혹독) severe; harsh, 酷(매서울 혹), 毒(해악 독)
일어: 酷毒[どくこく 고쿠도쿠], 중어: 酷毒[kùdú 쿠두]
몹시 까다롭고 심악스러움, 모질고 독함.
태평양 전쟁이 벌어지자, 일본의 혹독한 식량 정책이 더욱 악랄해졌다.
As the Pacific War broke out, Japan's harsh food policy became even more vicious.
酷*심할 혹(酉-14, 2급) 酷(kù)
1) 酷자는 술맛이 지나치게 ‘진하다’(strong)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 ‘술 유’(酉)가 의미. 告(알릴 고)가 발음 → 梏(쇠고랑 곡). 후에 ‘독하다’(strong; hard) ‘심하다’(severe) 등으로 확대 사용.
2) 닭/술 유(酉) + [고할 고(告)→혹] 술단지(酉)를 열면 코를 찌르는(告) 냄새가 나는 것이라, 사정없이 ‘혹독한’ 것이다. 音은 告의 변음이다. 사정이나 용서가 없는 것은 嚴(엄할엄)이다. 酷毒(혹독)
3) 닭/술 유(酉)+알리다/묻다/깨다 고(告); 신에게 고하기(告) 위해 바치는 술(酉)은 농도가 독한 술이다>독하다
4) 告 # (bend) + 酉 alcohol → strong alcohol that induces stomach pains, causing one to bend over → *severe*; *intense* → *cruel*.
毒*독할 독(毋-8, 4급) 毒(dú)
1) 毒자는 ‘싹 날 철’(屮)과 ‘음란할 애’(毐)가 합쳐진 것으로, ‘독풀’(poisonous herb)이 본뜻이다. 후에 ‘독하다’(poisonous) ‘해롭다’(harmful; injurious) 등으로 사용됐다. 중국 진나라 때, 陰莖(음경)에다 수레바퀴를 걸고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정력이 센 嫪毐(노애)란 사나이가 있었다고 한다.
2) 독 독(毒)자는 머리 장식이나 화장을 많이 한 여자(母)의 모습. 이러한 여자는 남자를 파멸로 이끄는 독(毒)과 같은 여자라는 의미가 담겨 있음.
3) ①生의 변형+母, 풀이 자라는(生) 데 도움이 되는 母의 역할을 하는 밭(田)이 있어 ‘두텁게’ 자라서 인간을 해치는 독한 풀더미. ②生의 변형+母(無의古字), 생(生)명을 부정(母)하는 ‘독’이다. 音은 ‘독’이니 약성이 너무 독(篤)한 것은 독약(毒藥)이고, 약성이 너무 극(極)한 것은 극약(劇藥). 毒藥(독약)
4) 풀 초(艸)+음란할 애(毐); 사람의 정신을 음란하게(毐) 하는 풀(艸)>독
5) 生 (fresh, slender grass shoots) + 母 # (succession of offspring) → stir boiled herbs in a cooking vessel (compare 融 and 熟) for use as an aphrodisiac → *poison* (← stimulant drug) → *damage*; *ruin*; *extreme*.
'고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9)-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9) (1) | 2023.06.08 |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8)-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8) (0) | 2023.04.06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6)-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6) (1) | 2023.03.23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5)-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5) (1) | 2023.03.16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4)-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4) (2) | 202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