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과서 한자41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1)-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1)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1) - 擧家(거가), 果盒(과합) 擧家(거가) the whole family, 擧(온통 거), 家(집 가) 일어:[挙家: きょか 교까], 중어: 举家 [jǔjiā 주이찌아] 온 집안 전체 擧*들 거(手-18, 6급) 1) 擧자는 (손을) 들다(rais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손 수(手)와 줄 여(與) 둘 다가 의미. 후에 꺼내다(bring a matter up) 모두(all) 행동(action) 등으로 확대 사용. 2) 손 수(手) + [더불/줄 여(與)→거] 두손(手)이 서로 더불어(與)서 신중하게 들어 올리는 것. 音은 與의 변음이다. 거대(巨大)한 것을 통틀어서 말하므로 音은 거다. 擧手(거수) 擧動(거동) 3) 손 수(手) + 더불 여(與); 물건을 두 손(手) 으.. 2022. 12. 1.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0)-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0)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0)-九秋佳節(구추가절) 九秋佳節(구추가절) Good days in autumn. 가을의 좋은 시절 九(아홉 구), 秋(가을 추), 佳(아름다울 가), 節(절기 절) 일어: [九秋-佳節: きゅうしゅう-かせつ 규슈-가세츠 ] 중어: 九秋佳節[jiǔqiū-jiājié 지오치오-찌아지에] 九秋(구추) : 謂秋季九十日也(위추계구심일야) 가을의 90일 동안을 말한다 秋曰三秋(추일삼주) 亦曰(역왈) 九秋(구추) - 梁元帝纂要(양원제찬요) - 가을을 삼추라고 하는데 또한(亦曰) 구추라고도 한다. 九*아홉 구(乙-2, 8급) 九(jiǔ) 1) 九자는 원래 ‘팔꿈치’(an elbow)란 뜻을 위해서 고안된 글자, ‘아홉’(nine)이란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활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그 본래의 뜻.. 2022. 11. 24.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9)-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9)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9) - 蓬萊仙境(봉래선경),念間(염간) 蓬萊仙境(봉래선경), Wonderland of Penglai 봉래산 같은 신선이 살만한 곳 蓬(쑥 봉), 萊(명아주 래), 仙(신선 선), 境(지역 경) 일어: [蓬莱: ほうらい 호라이 [仙境: せんきょう 쎈꾜]] 중어: 蓬萊 仙境[péngláixiānjìng 펭라이 씨엔찡] 蓬萊(봉래):海中仙山名: 바다 가운데 신선이 사는 산의 이름 According to legend, when the peonies are in full bloom Immortals from all directions will gather in the immortal mountains on the sea. This fairy mountain is Penglai Wonder.. 2022. 11. 17.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8)-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8)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8) - 揀擇[간택], 刺客[자객] 揀擇[간택] 揀(가릴 간), 擇(가릴 택) 일어: [選び: えらび 에라비], 중어: 拣择 [jiǎnzé 찌엔쯔어] 揀擇[간택]: 가림(뽑음), 왕․왕자․왕녀의 배우자를 고름 揀擇: selection of a spouse for the Royal family 刺客[자객] assassin 刺(찌를 자), 客(손 객) 일어: [刺客: しきゃく 시꺄꾸], 刺客 [cìkè 쓰크어] 刺客[자객]: 찌르는 사람, 암살하는 사람 刺客 [assassin]: a person who kills someone (such as a famous or important person) usually for political reasons or for money, a pers.. 2022. 11. 10.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7)-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7)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7) - 侍婢(시비), 節度使(절도사) 侍婢(시비) female servant, 侍(모실 시), 婢(계집종 비) 일어: [侍女: じじょ 지조], 중어: 侍婢 [shìbì 쉬비] 侍婢(시비): 곁에서 모시는 계집종 侍婢 : female sevant who take care of his master closely. 侍*모실시(亻-8, 3급) 1) 亻+寺, 관청(寺)에 관리들(人)이 상관을 ‘모시는-suserve’ 것이다. 또 절(寺)에서 스님(人)들이 부처님을 ‘모시는-enshrine’ 것이다. 侍女(시녀) 2) 사람 인(亻) + [모실 시(寺)] 모실 시(寺)자가 절 사(寺)자로 사용되면서, 원래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위해, 사람 인(亻)자가 붙음 3) ‘모실’ 시(侍)는 받드는 것... 2022. 11. 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6)-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6)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6) - 陶醉(도취), 處士(처사) 陶醉(도취) intoxication(eudemonia), 陶(기뻐할 도), 醉(취할 취) 일어: [陶酔: とうすい 도쓰이], 중어: 陶醉 [táozuì 타오즈이] 陶醉(도취): 흥취있게 술이 얼큰히 취함, 어떠한 것에 마음이 쏠려 취하다시피 됨. 陶醉 (intoxication): be drunk with happiness, causing someone to have strong feelings of excitement or pleasure. 陶*도야할/기뻐할 도(阜-11, 3급) 1) 陶자는 본래 匋(도)로 썼다. 缶(장군 부)가 의미, 勹(쌀 포)는 발음. ‘장군’은 액체를 담는 것으로, 진흙을 구어 만든 오지 그릇의 일종. 옹기 가마는 의례 .. 2022. 10. 27.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5)-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5)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5) - 巡査[순사], 西域(서역) 巡査(순사) japanese police officer, 巡(돌 순), 査(조사할 사) 일어: [巡査: じゅんさ 준사], 警官 [jǐngguān 징꾸안] 일제시대 경찰관의 최하위 직급 Lowest- ranking police officer in the period that japan forcefully occupied Chosun Dyasty(Korea). 巡*돌 순(巛-7, 3급) 1) 巡자는 오며 가며 ‘살피다’(inspect)는 뜻을 위한 글자, ‘길갈 착’(辶=辵)이 의미. 巛(천)은 川(내 천)의 본래 글자. 巡자의 川이 발음→馴(길들 순). 후에 여러 곳을 ‘들르다’(drop) ‘방문하다’(go to see) 등으로 확대 사용. 2) .. 2022. 10. 20.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4)-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4)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4) - 去舊生新(거구생신), 神效(신효) 去舊生新(거구생신), 去(갈 거), 舊(옛 구), 生(날 생), 新(새로울 신) 중어: 去[qù 슈] 舊生[jiùshēng 지우셩] 新[xīn 신] 일어: 古いものと新しいもの[Furui mono to atarashīmono 후루이 모노 또 아따라시모노] 옛 것은 사라지고 새 것이 나옴 - Old one went out and new one comes in. 去*갈 거(厶-5, 5) 1) 土는 성인의 모습인 ‘큰 대’(大)가 잘못 변한 것이고, 厶는 ‘움집’을 가리키는 凵(감)이 변화된 것이다. 집을 나서는 어른의 모습을 통하여 ‘떠나다’(leave)는 뜻을 나타냄. ‘가다’(go) ‘버리다’(abandon) 등으로도 쓰임. 2) 갈 거(去.. 2022. 10. 1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3)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3) - 連累(연루), 中風(중풍) 連累(연루) inculpatatory-be[get] involved in, 連(이을 련), 累(포갤 루) 일어: [連累 れんるい 렌뤼], 중어:连累 [liánlěi 리앤레이] 連累(연루):남이 일으킨 사건이나 행위에 걸려들어 죄를 덮어 쓰거나 피해를 입게 됨 連累(inculpatory):implying or imputing guilt, tending to incriminate or inculpate 罪相及也(죄상급야 : 죄가 서로 미침) 連坐也(연좌야) : 같은 자리에 나란히 앉음 連*이을 련(辶-11획, 4급) 1) 連자는 ‘길을 가다’는 뜻인 착(辶=辵=彳+止=‘길’+‘발자국’)과 ‘수레 거’(車)가 합쳐진 것으로, ‘인력거’(a ricksh.. 2022. 10. 6.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2)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2) - 暗衢明燭[암구명촉] 暗衢明燭[암구명촉]-어둠속의 불빛-candle in the dark street 暗(어두울 암), 衢(네거리 구), 明(밝을 명), 燭(촛불 촉) 暗*어두울 암(日-13, 5급) 1) 暗자는 ‘어둡다’(dark)가 본뜻, ‘해 일’(日)이 의미,. 音(소리 음)이 발음-> 闇(닫힌 문 암). 어두울 때 남몰래 하는 일이 많았든지, ‘몰래’(secretly) ‘넌지시’(by hints) 같은 뜻으로도 널리 쓰임. 2) 날 일(日) + [소리 음(音)→암] 해(日)가 없으면 어두움. 어두운 암흑(暗黑) 속에서는 소리(音)로 상대방을 서로를 구분한다는 의미로 해석. 3) 日+音, 왼쪽으로 해(日)가 지고 오른쪽에 소리(音)만 들리니 ‘어두운’ 것이다. 音은 .. 2022. 9.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