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 한자(30) - 意志(의지), 忍耐(인내)
意志(의지) will, 意(뜻 의), 志(뜻 지)
일어: [意志: い‐し 이-시], 중어: 意志 [yìzhì 이!지!]
意志(의지): 어떤 일을 이루려는 굳은 마음.
意志(will): a strong desire or determination to do something
의지(意志)가 강하다.- His will is strong.
意*뜻 의(心-13, 6급)
1) 意자의 ‘마음 심’(心)과 ‘소리 음’(音)은 둘 다가 의미 요소다. ‘뜻’(will)이 본래 의미다. 옛날 사람들은, 의지가 곧 ‘마음의 소리’라고 생각하였나 보다. 후에 ‘생각하다’(think of), ‘마음먹다’(determine)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2) 마음 심(心) + [소리 음(音)→의] 소리(音)를 듣고 마음(心)으로 뜻(意)을 안다고 해서 생긴 회의 문자. 마음(心)의 소리(音)가 곧 뜻(意)이라고 해석하기도 함. 의견(意見)이란 마음이 생각하는 것.
3) 말소리(音)를 통해서 표시되는 마음(心)은 ‘뜻’이다. 音은 義(의)로 통한다. 이상을 위하는 높은 뜻은 志(지)다. 意志(의지)
4) 音# (contained) + 心 heart/emotions → keep contained in the heart (compare 念) → (deep)*thought*; *mind*; *signification*
5) Intention (心) connected with one's words(音): meaning
6) What the heart(心) says(音) is what one really means to say.
출처: https://gotchahanja.tistory.com/entry/초등-교과서-한자-어휘07-Hanja-words-in-elementary-school07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07)-Hanja words in elementary school(07)
노력(努力) 努(힘쓸 노) 力(힘 력) 일어: 努力 [どりょく 노력끄] 중어:努力 [nǔ//lì 누~리] 힘씀, 힘을 씀, 힘을 다함 국어 1-1 努*힘쓸 노(力-7획, 4급) 1) 힘 력(力) + [종 노(奴)], ..
gotchahanja.tistory.com
志*뜻 지(心-7, 5급)
1) 志자는 어떻게 하고자 하는 ‘마음’(intention)을 뜻하기 위한 글자, ‘마음 심’(心)이 의미. 원래는 ‘止+心’의 구조로, 止(발 지)가 발음요소였는데, 후에 止가 土(흙 토)로 다시 士(선비 사)로 바뀜. ‘뜻’(will) ‘뜻하다’(intend ) ‘기록’(a record) 등으로 확대 사용.
2) 마음 심(心) + [그칠 지(止)] 뜻(志)이란 마음(心) 가는(之→士) 바에서 유래. 나중에 갈 지(之)자가 선비 사(士)자로 변형되어, 뜻(志)이란 선비(士)의 마음(心)이라고 해석하기도 함.
3) 之+心, 가는(之) 마음(心)은 즉 ‘뜻’이다. 音은 之이다. 또는 士+心, 선비의 마음은 즉 고상한 ‘뜻’이 되니, 욕구하는 뜻인 意(의)와 구별된다. 意志(의지)
4) 之 # (forward motion) + 心 heart/emotions → move ahead with resolution → *resolve*; *will*; *aspiration*; *intention*; *aim*; *have one's heart set on* →*kindness* (← kind intentions) → *present/offering* (← gift made out of kindness). *Record* and *memo* are borrowed meanings.
忍耐(인내) endurance, 忍(참을 인), 耐(견딜 내)
일어: [忍耐: にんたい 닌따이], 중어: 忍耐 [rěnnài 롄나이]
忍耐(인내):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참고 견딤.
忍耐(endurance): the ability to deal with pain or suffering that continues for a long time
인내(忍耐)는 쓰고 열매는 달다.
Endurance is bitter but the fruit of endurance is sweet.
忍*참을 인(心-7, 3급)
1) 忍자는 어떤 마음을 꾹 삼키다, 즉 ‘참다’(endure)가 본뜻, ‘마음 심’(心)이 의미, 刃(칼날 인)자는 발음. ‘모질다’(merciless) ‘차마 못하다’(cannot bear to) 같은 뜻으로도 쓰임.
2) 마음 심(心) + [칼날 인(刃)] 심장(心)에 칼날(刃)이 꽂혀 있으나 참는다는 의미
3) 刃+心, 칼날(刃)밑에 마음(心)이 눌려서 꼼짝 못하고 ‘참는’ 것이다. 고통을 참는 것은 忍이고 법도대로 견디는 것은 耐(내)다. 忍耐(인내) 殘忍(잔인)
4) From 刃 (a cutting weapon) and 心 (heart): a wounded heart; to bear; to sustain
5) 刃 # (flexible) + 心 heart/emotions → *bear*; *endure* (← heart that flexibly bears/endures burdens). *Stealth* and *concealment* are borrowed meanings → *secret*; *hide*; *incognito*; *sneak into/about*.
耐*견딜 내(而-9, 3급)
1) 말 이을 이(而) + 마디 촌(寸) 寸은 법도 而는 그래서 법도대로 해서 ‘견디는-withstand’ 것이다. 대지가 만물을 실은 것처럼 견딤은 堪(견딜 감)이고 칼날에 눌린 마음처럼 참는 것은 忍(참을 인)이다. 忍耐(인내) 내력(耐力)
2) 수염 이(而)+마디/법도 촌(寸) 법도(寸)를 어기고 수염(而)을 깎인 수치스러움을 견디다>견디다(endure)
3) ‘견딜’ 내(耐)를 『설문』에서는 “죄가 머리를 깎는[髮(곤)] 데까지 미치지 않는 것”이라고 함. 턱수염[而]을 손[寸]으로 깎는 것으로 가벼운 형벌. 예전에는 부모에 게서 받은 것이라고 몸을 워낙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머리털이나 턱수염을 깎는 것은 큰 모욕이었음. 조금 가벼운 형벌이니 견딜 만한 것.
4) 而 # (soft and droopy) + 寸 hand/action indicator → soften an object, improving its durability → *endure/bear*; *persist*; *withstand* → *be fitting*.
5) To restrain oneself by playing (寸) with one's beard (而): to be patient
출처: https://gotchahanja.tistory.com/entry/고등학교-교과서-한자05-hanja-in-high-school-textbook05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05) - hanja in high school textbook(05)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05) - 耐久力(내구력), 顧客(고객) 耐久力(내구력) durability, 耐(견딜 내), 久(오랠 구), 力(힘 력) 일어: [耐久力:たいきゅう‐りょく 타이키료쿠] 중어: 耐久力[N
gotchahanja.tistory.com
'중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교과서 한자(32)-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32) (1) | 2022.11.02 |
---|---|
중학교 교과서 한자(31)-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31) (0) | 2022.10.26 |
중학교 교과서 한자(29)-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9) (1) | 2022.10.12 |
중학교 교과서 한자(28)-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8) (1) | 2022.10.05 |
중학교 교과서 한자(27)-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27) (1)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