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2) - 玉壺(옥호), 佳辰(가신)
玉壺(옥호) jade bottle, 玉(구슬 옥), 壺(술병 호)
일어: [玉壺: ぎょっ‐こ 굦꼬], 중어: 玉壺[Yù hú 유후]
옥으로 만든 술병- A liquor bottle which is made of jade.
玉*옥돌 옥(玉-5, 4급)
1) 玉자는 ‘옥돌’(jade)을 나타내기 위하여 납작하고 둥근 고리 모양의 옥돌 세 개를 실로 꿰어 놓은 모양을 그린 것. 점을 찍어 놓은 것은 ‘임금 왕’(王)과 혼동을 피하기 위함. ‘보물’(a treasure) ‘귀하다’(precious) 등으로도 쓰임.
2) 실에 옥으로 만든 구슬 3개를 꿰어 놓은 모습을 본떠 만들 글자. 三은 구슬을 ㅣ은 실을 나타내고, 임금 왕(王)자와 구분하기 위해 점을 하나 더해 놓음, 구슬 옥(玉)은 보석이나 장신구, 노리개에 들어가는 말에 사용되고, 변으로 사용될 때 임금 왕(王)자로 표기.
3) Three pieces of jade (三) on a string (丨): jade. The dot (丶) was added later to distinguish it from 王.
壺*병 호(士-12, 특급)
1) 뚜껑(士=大)과 둥근 그릇(亞)이다. 술이나 물을 넣는 ‘병-bottle, jug’이다. 亞는 아래가 넓은 부분이고, 士는 마개를 막은 부분이다. 音은 亞의 변음이나 瓠(표주박호)로 통한다. 박 모양으로 둥근 병은 壺고, 길다란 병은 甁(병병)이다. 投壺(투호)
2) 아가리가 작고 중배가 부른 단지의 모양, 윗부분(-部分)은 뚜껑을 표시(表示)함.
3) A depiction of a lidded *vase* or *pot* → *jug*; *jar*. Also, *key point* and *vital point* (←ancient game in which the objective was to toss arrows into a jar).
4) The middle and lower part repr. the shape of a round vessel, and 士(a cover) the cover: a pot; a jug
佳辰(가신) fiesta-lucky day, 佳(좋을 가), 辰(때 신)
일어:[佳辰·嘉辰: かしん 가싱], 중어:佳辰[Jiāchén 쟈쳔]
좋은 때, 경사스런 날
good day, haapy day.
佳*좋을 가(人-8, 3급) 佳(jiā)
1) 佳자는 ‘아름다운’(beautiful) 사람을 뜻함. ‘사람 인’(亻)이 의미. 圭(홀 규)가 발음 → 街(거리 가). ‘좋다’(good)는 뜻으로도 쓰임.
2) 사람 인(亻) + [서옥/쌍토 규(圭)→가] 圭는 옛적에 제후들이 천자께 받은 벼슬, 벼슬을 받은 사람(亻)은 ‘아름다운’ 것. 音은 圭의 변음이고 嘉(가)와 통한다.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佳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은 嘉(기릴 가)다. 佳人(가인) 佳作(가작)
3) 임금을 만날 때 조복(朝服)에 홀(圭)을 들고 만나는 잘 생긴 사람(亻)>아름답다
4) 圭# (neat) + 人 person → person of neat, attractive appearance → *beautiful* (compare 娃) → *good*.
辰*지지/별 진, 날 신(辰-7, 3급) 辰 [chén 췌], [辰: しん 신]
1) 三+丿+乙+匕, 三월에 양기가 발동(丿)해서 초목의 움(乙)이 터서 변화(匕)해서 커 가는 때이다. 또한 ‘별’이란 뜻도 된다. 양기가 震動(진동)하니 音은 ‘진’이다. 또 양기가 伸長(신장)하는 때란 뜻으로는 음이 ‘신’. 달로는 음력 삼월이고 양력으로는 사월이다. 동물 배속은 ‘용’띠. 日辰(일진) 生辰(생신) 日月星辰(일월성신)
2) 별 진(辰)자는 입을 벌리고 있는 조개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따라서 진(辰)자의 원래 의미는 조개입니다. 하지만 나중에 별을 의미하는 글자가 됨(가차자).진(辰)자는 부수이지만,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 역할을 할 때 "떨리거나 경미하게 움직인다"라는 의미도 가짐. 진동(振動)이라는 글자에 들어가는 떨칠 진(振)자, 지진(地震)이라는 글자에 들어가는 벼락 진(震)자, 배속의 아기아 움직이는 아이밸 신(娠)자, 말할 때 움직이는 입술 순(脣)자 등이 그런 예.
3) 曳(끌예)+二(上)+乙(초목의 싹)+匕(될화), 초목의 싹이 커서 위로 향해가는 삼월이다. 설문에는 音이 (예)라고 했으나 지금은 음이 전혀 다르다. 아마 허신의 시대에는 (예)가 辰과 동일한 음으로 ‘신’이었을 것이다.
4) combines a person + a hoe (comprised of a handle attached to a bivalve's(쌍각류 조개) shell), twitched to turn soil → twitch a hoe in turning soil. *Dragon* (as the *fifth sign of the Chinese zodiac*) and *7 A.M. to 9 A.M.* are borrowed meanings.
출처: https://gotchahanja.tistory.com/entry/아학편兒學編-상21-Child-learn-book21
아학편(兒學編)-상(21)-Child learn book(21)
아학편(兒學編)-상(21)-日月星辰(일월성신), 風雲雨露(풍운우로) 日月星辰(일월성신):해와 달, 별. 日月星辰: Sun, moon and background of the heavens, 日(날 일), 月(달 월), 星(별 성), 辰(북..
gotchahanja.tistory.com
'고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4)-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4) (1) | 2022.12.22 |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3) (2) | 2022.12.15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1)-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1) (1) | 2022.12.01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0)-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0) (1) | 2022.11.24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19)-hanja in high school textbook(19) (1)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