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4)-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 派生金融商品)
파생금융상품(派生金融商品)
금융상품의 가격 움직임을 상품화한 것으로, 통화ㆍ채권ㆍ주식 등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Financial Asset)의 가치변동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계약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파생금융상품으로 선물(future)ㆍ선물환(foward exchange)ㆍ옵션(option)ㆍ스왑(swap)·선도(forward) 등이 있다. 파생금융상품은 금융시장 참가자에게 폭넓은 위험 헤지(Hedge)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위험 선호도에 따라 자산 구성을 쉽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즉, 위험 회피자는 자산 및 부채의 가치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동기뿐만 아니라 고수익을 창출하려는 투기적 동기가 금융계약의 형태로 결합되어 거래가 이루어진다.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
A financial instrument whose value depends, at least in part, on the value of a related asset or liability. Its value is “derived” from the values of some underlying asset such as a commodity or stock; e.g., if one owns an option to purchase 1,000 shares of a particular stock at a set price, the value of the option will increase as the value of the stock increases. Risk managers and financial officers often deal in derivatives as a technique for managing their business risks.
Ex) futures, foward exchange, option, swap, forward etc...
派*물 갈래 파(水-9, 4급)
1) 派자의 오른 쪽 편방이 ‘길 영’(永)에서 변화된 것임은 脈(맥)자를 ‘脉’이라고 쓰는 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강물[水→氵]이 길게[永] 흐르는 중에는 갈래가 있게 마련이다. ‘물 갈래’가 본뜻, ‘가르다’(divide)는 뜻으로도 쓰인다.
2) 물갈래는 강물이나 냇물 따위의 갈려 나가는 가닥을 의미. 물갈래 파(厎)자는 이와 같이 물이 갈라지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물 수(氵)자가 더해져 물갈래 파(派)자가 됨.
3)氵+𠂢 는 반대로 쓴 永자의 변형으로 길게 감은 永인데 나뉘어 감은 𠂢다. 木의 支는 枝(가지 지)고, 水의 𠂢
는 派다. 따라서 계통이 나누어짐을 뜻한다. 派閥(파벌) 宗派(종파) 派遣(파견)
4) 물 수(氵=水, 氺)+핏줄 맥(脈의 획 생략) 물(氵=水, 氺)이 핏줄(脈)처럼 갈라진 것>물 갈래
5) 𠂢# is a depiction of branching rivulets. 派 adds 水 water → distributaries of a main watercourse →
*faction*; *group*; *school* (← branches of a main organization).
生*날 생(生-5, 8급)
1) 生자는 ‘돋아나다’(sprout)는 뜻, 땅거죽을 뚫고 갓 돋아 난 새싹 모양을 그린 것. 생명이 태어나는 것을 풀이 돋아나는 것에 비유하였기에 ‘태어나다’(be born) ‘살다’(live) 등으로도 쓰였다.
2) 땅위에 자란 초목 꼴. 土(흙토)+屮(싹 철)의 변형자, 땅(土)에서 싹(屮)이 ‘나는’ 것이다. 나서는 ‘살아’가 니 살아 있는 ‘날것’이란 뜻도 된다. 生命(생명) 生産(생산) 生活(생활) 生命(생명) 生育(생육) 生長(생장) 生疎(생소) 生鮮(생선) 生氣(생기)
3) an abbreviated form# of 艸 grass/plant + 土 earth → fresh, slender grass shoots → *birth*; *life* → *new*; *fresh*; *sprout*; *raw*; *alive*; *by nature*; *youth*; *unripe*; *pure*; *bear fruit*; *spare a life*; *bring back to life*; *make use of*; *make a living*; *be/remain valid*; *arrange flowers/plants*; *grow*; *undiluted*.
4) From 㞢, a plant to which a whorl (一) was added; later changed into the present form: growing more and more << to bear; to spring; to live; to grow
金*쇠/돈 금(金-8획, 8급)
1) 쇠 금(金)자는 주물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全)에서 쇳물이 뚝뚝 흐르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추정.
2) 今(이제금)+土(흙)+,,(알갱이)→金, 지금 흙에 섞여있는 알갱이로 된 ‘금(gold)’이다. 音은 今이다.
3) 또는 광토(鑛土)속에 있는(,,) 것을 모은(亼) ‘금’이다. 金은 가장 고귀한 것이라 모든 쇠(metal)를 대표한다. 金은 오행(五行)으로 서쪽을 뜻한다. 金屬(금속) 黃金(황금) 誠金(성금)
4) From 土 (earth) and 今 as phonetic; two dots added that repr. pieces of metal or nuggets(덩어리) of gold << metal
融*녹을 융(虫-16, 2급)
1) 融자는 따뜻한 흙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다’(steam; reek)는 모양을 본뜬 글자. ‘녹다’(melt) ‘유통되다’(circulate) ‘화합하다’(combine) 등으로 확대 사용.
2) 벌레 충(虫) + [솥 력(鬲)→융] 불땐 솥(鬲)에서 나오는 김(虫)이 위로 나옴이다. 虫은 김이 나오는 모습이다. 音은 蟲의 변음이다.
3) 鬲+丿+中, 鬲은 세발솥을 상형한 것인데, 그에서 증기가 올라와(丿)서 공기와 중(中)화가 돼서 ‘풀어지는’ 것이다. 音은 虫의 변음이다. 두가지가 일체로 합하는 것은 和(화)다. 融解(융해) 融合(융합) 融通(융통)
4) 막다/세발 솥 격(鬲)+벌레 충(虫) 누에나 벌레(虫)를 솥(鬲)에 삶듯이 쇠붙이를 녹이다>녹이다
5) 虫 here an abbreviated form# of 蟲 swarm + 鬲 tripod cooking vessel/cauldron → stir a swarm of objects in a cooking vessel (compare 毒 and 熟) → *melt*; *dissolve*.
商*장사 상(口-11, 6급)
1) 商자의 갑골문은 어떤 건축물 형상인데 그 뜻풀이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헤아리다’(consider) ‘장사하다’(trade in) ‘의논하다’(consult with)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쓰임.
2) 문명이 발달한 상(商) 나라에 높은 건물이 많아 상(商) 나라로 불렀고, 상나라 사람이 최초로 장사를 해서 장사라는 의미도 생김.
3) 밝을 경(冏)+설 립(立의 획 생략) 밝은冏) 곳에 서있는(立의 획 생략) 사람이 잘 본다> 헤아리다
4) 章 (rise) + a tall platform (compare 堂) → tall platform (rising particularly high) → *trade*; *commerce*; *business*; *merchant* (← people of China's high plateaus noted for their mercantile skills, who referred to themselves as 商) → *deal in*; *compare* (← compare goods in conducting trade/business)
品*물건 품(口-9, 6급)
1) 品자는 원래의 자형이 고스란히 잘 보존되어 있는 희귀한 예다. ‘입 구’(口)가 셋이나 되니 ‘여러 사람’(the crowd)이 본뜻이었는데, ‘물건’(articles) ‘종류’(kinds) ‘등급’(grades)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활용됐다.
2) 입 구(口) 자 3개로 이루어져 있는 물건 품(品) 자는 그릇과 같이 생긴 물건들이 여러 개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입 구(口) 자와는 상관없음.
3) 개의 口자는 입이 아니라 여러 ‘물건’을 의미한다. 질적인 ‘등급’도 의미한다. 口네 개를 합한 “집”자는 시끄럽다는 뜻이다. 商品(상품) 品格(품격) 品位(품위) 品詞(품사) 品評(품평)
4) 입 구(口)+입 구(口)+ 입 구(口) 여러 사람이 말(口)이 물건을 추천하다→품평하다
5) Square-shaped object (tripled) → high quality *goods* spread throughout a protective container (compare 舗 and 販) → *quality*; *counter for goods*; (person's) *character*; *grade*; *value*.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6)-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6) (0) | 2022.09.04 |
---|---|
경제용어(5)-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5) (0) | 2022.08.28 |
경제용어(3)-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3) (0) | 2022.08.14 |
경제용어(2)-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2) (0) | 2022.08.08 |
경제용어(1)-Economic terminolgy with hanja(1)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