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0

사자성어(123)-four words idiom(123)- 南柯一夢(남가일몽) 南柯一夢(남가일몽) like a dream of a time 南(남녘 남), 柯(가지 가), 一(한 일), 夢(꿈 몽)남쪽으로 뻗은 나뭇가지 밑에서 꾼 잠깐 동안의 꿈이라는 뜻으로, 한때의 부귀와 권세는 꿈과 같다고 하여, 덧없음을 비유한 말.A short- lived dream under the branches of a tree reaching south, a metaphor for the fleeting nature of riches and power, as temporary wealth and power are like a dream. 南柯一夢(남가일몽) 영어 속담"A Midsummer Night's Dream"-"한여름 밤의 꿈"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희곡 제목은 꿈이나 환상 또는 환상적인 경험을.. 2024. 6. 2.
수학용어 해설-002 가평균 | 假平均 | working mean 假*거짓 가(人-11, 5급), 平*평평할 평(干-5, 7급), 均*고를 균(土-7, 4급) '가평균'은 한자 假平均의 음역. 여기서 假(가)에는 '임시'라는 의미. 그래서 假平均(가평균)은 '임시 평균'이라는 의미. 실제로 평균을 구하고자 할 때, 평균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값을 임시로 정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가평균. 가평균을 영어로는 working mean이라고 한다. 이것은 평균을 구하기 위한 '작업(作業)'용 평균이라는 의미로 보인다. 假平均 | 가평균 | working mean 한자해설 假*거짓 가(人-11, 5급) 1) 假자는 ‘거짓’(falsehood)이란 뜻의 글자, ‘사람 인’(人)이 의미, 叚(빌 가)는 발음, 의미인 ‘빌리다’(borrow.. 2024. 4. 11.
수학용어 해설-001 가분수 | 假分數 | improper fraction 假*거짓 가(人-11, 5급), 分*나눌 분(刀-4, 6급), 數*셈 수(支-15획, 7급) '가분수'는 한자 假分數의 음역이다. 假(가)에는 '가짜'라는 뜻이 있다. 그래서 假分數는 '가짜 분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분수는 본래 전체를 몇 개로 등분한 것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즉, 한 덩어리를 4등분한 경우에는 1/4, 2/4, 3/4, 4/4라는 분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분수의 개념이 확장되면서 분자가 분모보다 커지는 경우, 이를테면, 5/4와 같은 분수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같은 분수를 본래의 분수와 구별하게 되면서 그것을 가짜분수, 즉 가분수. 가분수를 영어로는 improper fraction이라고 한다. impr.. 2024. 4. 10.
사자성어(122)-four words idiom(122)- 請君入甕(청군입옹) 請君入甕(청군입옹) Please step into the jar. 請(청할 청), 君(임금 군), 入(들 입), 甕(독 옹) 그가 사람을 해쳤던 그대로 그를 다스리다. 상대방의 수법으로 상대방 자신을 다스리다. 제 도끼에 제 발등 찍히다. Asking the king to enter the jar" is used to treat another person in the same way, and to punish himself in the same way that a person punishes others. 請君入甕(청군입옹) 영어속담 He who digs a pit for others, falls in himself. (남이 빠지도록 구덩이를 파는 자는 자기가 거기 떨어질 것이다) 이 속담은 악한 의도로.. 2023. 9. 5.
사자성어(121)-four words idiom(121)-干卿何事(간경하사) 干卿何事(간경하사) What's the Matter? 干(방패 간), 卿(벼슬 경), 何(어찌 하), 事(일 사) 경과 무슨 상관인가?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하는 사람을 비웃는 말. What's the Matter? refers to a person's meddling in other people's business 干卿何事(간경하사) 영어속담 Blow your own pottage and not mine. (내 죽이 아니라 네 죽이나 입으로 불어라.) "네 자신의 음식을 불어라, 내 음식은 내가 불겠다"라는 의미로, 자기 이익을 위해 힘쓰고 남의 일에 신경 쓰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pottage"란 단어는 중세 시대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요리인 수프나 스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따라.. 2023. 9. 4.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2)-hanja in high school textbook(42)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42) - 具眼者(구안자), 花紋席(화문석) 具眼者[구안자] a man of discernment, 具(갖출 구), 眼(안목 안), 者(사람 자) 일어:具眼者 [ぐがん-しゃ 구강-자], 중어: 具眼者[jùyanzhě 쥐옌저] 안목과 식견을 갖춘 사람 具*갖출 구(八-8획, 5급) 具(jù) 1) 具자가 원래는 ‘들다’(raise; lift up)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솥 정’(鼎)과 ‘받들 공’(廾)을 합쳐 놓은 것이었는데, 글자 모양이 대폭 간소화되어 ‘갖추다’(prepare) ‘차리다’(make ready) ‘도구’(a tool) 등으로 확대 사용. 2) 솥 정(鼎) + 손 맞잡을 공(廾) 두 손(廾)으로 솥(鼎→貝)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집에 솥을 '갖춘다.'는 의미. 구.. 2023. 9. 3.
중학교 교과서 한자(58)-hanja in middle school textbook(58) 중학교 교과서 한자(58) - 基盤(기반), 角逐場(각축장) 基盤(기반) foundation bed, 基(터 기), 盤(소반, 받침, 바탕 반) 일어: 基盤 [きばん 키방], 중어: 基盘[ jīpán 찌판] 기초가 될 만한 바탕. 기본이 되는 토대. 생활 기반(基盤)을 튼튼히 하다.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life. 基*터 기(土-11획, 5급) 基(jī) 1) 基자는 ‘흙 토’(土)가 부수이자 의미, 其(그 기)는 발음. ‘(흙담의) 밑 부분’(the base)이 본뜻, 후에는 ‘밑바탕’(the foundation) ‘첫 단계’(the first stage) 등으로 확대 사용. 2) 흙 토(土) + [그 기(其)] 그(其) 땅(土)은 어떤 건물을 짓는 ‘터’다. 건물을 지을.. 2023. 9. 2.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5)-Hanja in mathematics(65) 초등 수학 교과서 한자 어휘(65)-작품란(作品欄), 음료수(飮料水) 작품란(作品欄) the column of works, 作(지을 작), 品(물건 품), 欄(난간 란) 일어:作品欄[さくひん らん(사꾸힝랑)], 중어:作品栏[zuòpǐn lan] 물건을 지어서 싣는 난(곳), 신문(新聞)이나 잡지(雜誌)에서 문예(文藝) 작품(作品)을 싣는 난, 칼럼. 수학, 2-2 05-090 作*지을 작(人-7, 6급) 作(zuō, zuó, zuò) 1) 作자가 본래는 ‘乍’(사/작)로 쓰이다가 ‘사람 인’(亻)이 첨가된 것, 만들다’(make) ‘일으키다’(set up) 등의 의미로 쓰임. 2) 사람 인(亻) + [지을 작(乍)] 지을 작(乍)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칼 붙이로 나무 따위를 패어 V자 모양의 자국을 내는 .. 2023. 8. 14.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9)-Hanja in elementary school(69) 초등 교과서 한자 어휘(69)-親庭(친정), 豊年(풍년) 親庭(친정) married woman's parents' home, 親(어버이 친);庭(집안 정) 일어:実家[じっか 지까], 중어:娘家[niáng‧jia 니앙 지아] 결혼한 여자의 부모 형제 등이 살고 있는 집 시집온 후 처음으로 친정 나들이를 갔다. "I went to my hometown for the first time after getting married." 親*친할 친(見-16, 6급) 亲(qīn, qìng) 1) 親자는 ‘볼 견’(見)이 부수이자 의미 요소이고 왼쪽의 것은 辛(매울 신)의 변형으로 발음 요소. ‘가까이 다가가 보다’(go near and see)가 본뜻, ‘친근함’(affection)을 뜻하기도 한다. 가장 친근한 사람.. 2023. 8. 13.
아학편(兒學編)-상(50)-Child learn book(50) 아학편(兒學編)-상(50)-楡槐楊柳(유괴양류), 橡檟榛栗(상가진률) 楡槐楊柳(유괴양류): 느릅나무와 홰나무, 개버들과 버들 楡(느릅나무 유), 槐(괴화나무 괴), 楊(버들 양), 柳(버들 류) 楡槐楊柳(유괴양류): Trees of Elm(楡), Pagoda/malt(槐), Poplar(楊), Willow(柳) 槐(괴화나무 괴): 한자로는 괴화(槐花)나무로 표기하는데 발음은 중국발음과 유사한 회화로 부르게되었다. 홰나무를 뜻하는 한자인 '槐'(괴)자는 귀신과 나무를 합쳐서 만든 글자이다. 회화나무가 사람이 사는 집에 많이 심은 것은 잡귀를 물리치는 나무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개버들(楊) (Betula platyphylla): 주로 한국과 중국 북동부 지역에서 자람. 버들(柳) (Betula): 버들은 여.. 2023.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