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four words idiom)

사자성어(97)-four words idiom(97)-脚踏兩船(각답양선)

by propup77 2023. 5. 30.

脚踏兩船(각답양선):"to have one foot in each boat"
脚(다리 각), 踏(밟을 답), 两(두 량(양) 냥 냥(양)), 船(배 선)

두 배에 양다리를 걸치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함을 의미.
It means being in a situation where you can't do this or that.

 

 

 

脚踏兩船(각답양선) 영어속담(English Proverb)

"be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두 개의 바위 사이에 끼어 있었다."라는 뜻으로, 어떤 선택을 하든지 간에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음을 의미

I was stuck between two rocks," meaning that no matter what choice you make, you're in a difficult situation.

 

脚踏兩船(각답양선)의 한자분석

脚*다리 각(肉-11, 3급) 脚 [jiǎo 찌아오], [脚: きゃく갸꾸]

1) 脚자는 다리(a leg)를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고기 육(月=肉)이 의미, 물리칠 각(却)은 발음.

2) 고기 육(肉/月) + [물리칠 각(却)] 석명(釋名)에는 「脚은 却이니 앉으면 상체를 뒤로 물리치는 것이다」고 했다. *釋名(석명): 중국 후한의 역사서

3)⺼과 去와 卩(節)의 합자니 육체(⺼)에서 걸어 가(去)는 마디(卩)는 즉 다리다. 橋脚(교각)

4) 육달 월(月 *살, 몸)+ 물리칠 각(却 *구부러지다) 사람의 신체(月)에서 무릎에서 굽어진(却) 곳이 다리이다&gt다리

5) 却# withdraw + 肉 flesh &rarr *leg* (&larr body part allowing one to withdraw).

 

踏*밟을 답(足-15, 3급) 踏(tā, t&agrave)

1) 踏자는 발로 땅을 디디다(step on)가 본래 뜻이었기에 발 족(足)이 의미요소, 沓(유창할 답)은 발음요소. 후에 밟고 누르다(put down) 걷다(walk go on foot) 등으로 확대 사용.

2) 발 족(足) + [유창할/끓을 답(沓)] 땅에 발(足)이 붙는(沓) 것처럼 밟는 것이다. 절구(舀)에 찧는 것처럼 밟는 것은 蹈(밟을도)고, 소소한(戔) 행동으로 밟는 것은 踐(밟을 천)이고, 실행해 가면서 밟는 것은 履(밟을리)다. 踏步(답보)

3) 발 족(足)+ 유창하다/합치다 답(沓) 자기 것으로 합치기(沓) 위하여 발(足)로 밟다&gt밟다

4) 沓 # pile + 足 leg/foot &rarr footsteps piled upon each other &rarr *stamp/tread* *step/stand on* *set foot on* *stand firm* &rarr *be based on* &rarr *experience* *go through* (&larr based on what one has experienced or gone through).

 

兩*두 량(入-8, 5급) 两(liǎng)

1) 兩자는 수레의 끌채와 가름대를 그린 것에, 두 개의 멍에를 본뜬 것(&and&and)이 합쳐진 것으로, 2(two) 짝(pair)의 뜻으로 쓰였다. 예전에 돈의 단위를 나타냈던 순우리말 냥(nyang)의 음역(音譯)으로도 쓰였다.

2) 저울추 두 개가 나란히 매달려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gt둘이 이룬 한 쌍

3) ㅜ(稱)의 양쪽에 각기 十二수의 중량을 넣고(入) 그것을 하나로 덮어(冂) 놓은 二十四를 지칭한 것이니, 둘을 하나로 합칭하는 것이다.

4) A depiction of a measuring device with long arms aligned on *both* sides &rarr *form a pair* &rarr *unit of weight* (Edo period) *unit of money*. *Counter for cars/tanks* is a borrowed meaning.

 

 

船*배 선(舟-11, 5급) 船(chu&aacuten)

1) 船자는 의미요소(舟․배 주)의 뜻과 완전히 일치하는 희귀한 예다. 오른쪽의 것은 鉛(납 연)의 생략형으로 발음요소로 쓰였다는 설이 있다. 수상 운송 수단인 배(vessel)를 총칭하는 것으로 널리 쓰인다.

2) (설문)舟+㕣(鉛의 생략자), 音은 鉛의 변음이다. 배 주(舟) + [산속 늪 연(연)&rarr선], 산 속의 늪(㕣)을 다닐수 있는 배(舟)이다. 船舶(선박) 船員(선원) 船艙(선창) 船長(선장) 船室(선실)

3) 배 주(舟)+물 따라갈 연(㕣, 沿의 획 생략) 물길을 따라(沿) 가는 작은 배(舟)&rarr배

4) Abbreviated form# of 沿 (follow/run along a prescribed course) + 舟 boat &rarr *boat* progressing along a prescribed course &rarr *ship*.

5) The Bible states that eight(八) people(口) survived in Noahs Ark(舟). This character seems to explain that, and means boats and ships of all sizes. - Genesis 7:13

 

각답양선(脚踏兩船)의 유래

각답양선(脚踏兩船)은 脚踏两只船(각답지양선)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한 발로 두 개의 배를 밟는다는 뜻으로,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하거나 여러 가지 선택의 갈림길에서 어느 한쪽도 선택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각답양선(脚踏兩船)의 유래는 여러 가지로 전해지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청나라 때의 작가 진무의 『증광 유비신기』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진무는 증광 유비의 행적을 기록한 책에서 증광 유비가 어떤 일에 대해서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다가 결국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게 된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각답양선(脚踏兩船)은 흔히 여러 가지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사람을 비난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각답양선은 꼭 비난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일에 대해서 여러 가지 고민을 하고 신중하게 결정을 내리고자 하는 사람을 칭찬하는 말로도 사용됩니다.
사람은 여러 가지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일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각답양선(脚踏兩船)은 사람의 이러한 복잡한 마음을 잘 표현하는 고사성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