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1) - 窮極(궁극), 尨大(방대)
窮極(궁극) fianlity extremity 窮(다할 궁), 極(다할 극)
일어: 窮極 [きゅうきょく 구교꾸], 중어:窮極 [Qióngjí 치옹지]
극도에 달함, 마지막
그것이 곧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까지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at is the extreme purpose.
窮*다할/궁할 궁(穴-15, 4급) 穷(qióng)
1) 窮자는 ‘다하다’(en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구멍 혈’(穴)이 의미. 모든 ‘구멍’은 반드시 ‘다함’(끝)이 있기에 ‘구멍 혈’(穴)을 의미요소로 채택한 것으로 보임. 躬(몸 궁)은 발음. 후에 ‘궁하다’(poor)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
2) 구멍 혈(穴) + [몸 궁(躬)] 어떻게 피해 나갈 길이나 도리가 없는 것을 궁하다고 함. 구멍(穴)이 막혀 더 나아갈 곳이 없어서 궁하다는 의미가 생김.
3) 穴(구멍혈)+躬, 몸소(躬) 구멍(穴)에 들어갔으니 ‘곤란한’ 것이다. 곤란이 ‘극도’에 달했으니 다시 구멍을 파는 것처럼 ‘연구하는’ 뜻도 된다. 窮究(궁구) 窮理(궁리) 窮乏(궁핍) 困窮(곤궁)
4) 구멍 혈(穴)+몸 궁(躬); 몸(躬)이 구멍(穴)에 빠짐>다하다
5) 躬 # (bend) + 穴 hole → bend in negotiating a tunnel → *be blocked/stuffed*; *be at/come to an extreme*; *end*; *dead end* (← reach the end of a tunnel). Also the borrowed meanings
*investigation* and *follow through* (compare 究, 奧, and 探).
極*다할 극(木-13, 5급) 极(jí)
1) 極자는 ‘(굵은 나무로 만든) 대들보’(girder)를 뜻하기 위한 글자, ‘나무 목’(木)이 의미. 亟(빠를 극)은 발음요소. 가장’(most) ‘지극히’(extremely) ‘다하다’(finish) 등으로도 쓰인다.
2) 나무 목(木) + [다할 극(亟)] 여러 개의 글자가 모인 극(極)자는 원래의 의미가 대들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상형문자를 보더라도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고, '다한다'는 의미가 생긴 이유도 명확하지 않음.
3) 원훈은 棟(용마루 동)이다. 木(나무목)+亟, 나무(木)가 빠르(亟)고 바르게 커서 일정한 한도까지 올라간 것이다. 兩極(양극) 北極(북극) 極盡(극진) 至極(지극)
4) 나무(木)를 빠르게(亟) 키우는 데는 정성을 다해야 한다>다하다
5) 亟 # (stretch to full height/length) + 木 tree/wood → wooden pillar stretching between ceiling and floor → *extreme*; (positive/negative) *pole*; *end*. Also, *exhaust* (← exhaust/come to the end of one's resources).
尨大(방대) huge vast 尨(클 방), 大(클 대)
일어: 尨大[ぼう‐だい 보다이], 중어: 庞大[pángdà 팡다]
규모나 양이 매우 크거나 많음
이처럼 방대하고 복잡한 체계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언어
A language has such a vast and complex system and structure.
尨*클/삽살개 방(尢-7, 1급) 尨(máng, méng)
1) 「어이러울 봉」의 본음(本音)은 「몽」. 털복숭이 개의 모양을 본뜬 모양. 또는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見解): 尤(더욱 우)와 나머지 글자 터럭삼(彡) -털이 더욱 많아지다→크다(huge, vast)
2) 개 견(犬) + 터럭 삼(彡) 털(彡)이 북실북실하게 난 개 → 삽살개
3) 개 견(犬)+터럭 삼(彡 무늬, 빛깔, 머리, 꾸미다); 늘어진 털(彡)로 온갖 모양으로 꾸며지는 개(犬)>삽살개
4) 彡 here an abbreviated form# of 須 (long beard) + 犬 dog/beast → *large*, *shaggy dog*.
大*큰 대(大-3, 8급) 大(dà, dài)
1) 大자는 ‘어른’(an adult; a grown-up)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어른이 서 있는 모습을 정면에서 그린 것이다. 어른은 아이에 비하여 크기 마련이었기에 ‘커다랗다’(great; gigantic)는 뜻으로 확대 사용.
2)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사람을 정면으로 본 모양>크다
3) 팔다리를 벌린 사람 꼴은 ‘큰’것이고, 小는 그 반대이다. 크고 작은 것은 사람의 주관으로 말하는 것이니 相對(상대)적이라 音은 ‘대’이다. 고문에서는 음이 ‘달’이다. 大小(대소) 大形(대형) 大綱(대강)
4) A depiction of a person standing greatly outstretched,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oneself and others → *big*; *large*; *great*; *full*; *spacious* → *extremely*; *too*; *excellent*; general
'고등교과서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3)-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3) (0) | 2023.03.02 |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2)-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2) (2) | 2023.02.16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30)-hanja in high school textbook(30) (0) | 2023.02.02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9)-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9) (1) | 2023.01.26 |
고등학교 교과서 한자(28)-hanja in high school textbook(28) (0) | 2023.01.19 |
댓글